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강강술래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세시마당놀이 > 강강술래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리의 강강술래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길임, 박양애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길임, 박양애 |
지역개관 | 우수영은 동외리, 동내리등 10개 理로 이루어져 있다. 1971년 민속놀이 <강강술래>가 중요 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고, 1987년 <부녀농요>가 전라남도 문화재로 지정되는 등 민속놀이, 농요가 풍부한 곳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월 16일에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리에서 채집한 강강술래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길임, 박양애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추석명절, 오월단오, 유월유두, 칠워백중, 정월대보름 명절 때 부녀자들이 같이 모여 노는 전남지역의 대표적인 민속놀이다. 놀이 구성원은 주로 부녀자 중심이지만 가끔 동네 총각들이 장난삼아 끼어들기도 했다고 한다. 대개 저녁에 모여 놀기 시작하는데 달이 떴다 지도록 논다. 김길임씨 기억에 의하면 해방 후부터 마을에서 차츰 이 놀이가 사라졌다고 한다. <긴강강술래>-<중강강술래>-<잦은강강술래>-<남생아놀아라>-<고사리꺾기>-<청애엮기>-<지와밟기>-<덕석몰기>-<쥔쥐새끼>-<문열기>-<바늘귀뀌기>-<가마타기>-<잦은강강술래> 순으로 진행된다. 이 마을의 <강강술래>는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어 있다. |
가사 | 가사_한국민요대전_1431.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