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둥당애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리의 둥당애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00116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남도 > 해남군 |
생산지역 상세 | 문내면 우수영리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19 , 둥당애타령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전라남도 , 전남 , 해남군 , 1990 , 1993 , 둥당애타령 , 김길임 , 박양애 외 3명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김길임, 박양애 외 3명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김길임, 박양애 외 3명 |
지역개관 | 우수영은 동외리, 동내리등 10개 理로 이루어져 있다. 1971년 민속놀이 <강강술래>가 중요 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고, 1987년 <부녀농요>가 전라남도 문화재로 지정되는 등 민속놀이, 농요가 풍부한 곳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월 16일에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리에서 채집한 둥당애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길임, 박양애 외 3명이 참여하였다. 부녀자들이 물레방아에서 활방구(엎어놓은 바가지 위에 목화 타는 활을 대고 튕겨 소리를 내던 즉흥적인 악기) 장단에 맞춰 부르며 놀던 노래이다. |
가사 | (후렴) 둥덩에덩 둥덩에덩 덩기둥덩에 둥덩에덩
둥덩에덩 둥덩에덩 덩기 둥덩에 둥덩에덩 연아 연아 진둣년아 진두하고 먼들년아 / 한사 모시 석자 시치 오른손에 감어 쥐고 / 녹진나리1) 건너가니 어느나 친구가 날 반겨줄까 덩기 둥덩에 둥덩에덩 오란다네 오란다네 재너메 폿니가 오란다네 / 멋하자고 오란당가 은절미2) 놋접시 엿 붓어 놓고 / 혼자 묵기는 개심심한께 단둘이 묵자고 오란다네 쉬쉿대야 심방고야 만에 둥둥 우리 엄매 / 어느 골가 이별하고 날 크는 줄 모르는가 / 널 크는 줄 안다마는 차마 서러 못 가나겄네 덩기둥덩에 둥덩에덩 이붓엄매 엄매랑가 이붓아배 아배랑가 / 밥바꾸리 밥을 두고 배가 고파 못 살겄네 / 장롱에다 옷을 두고 옷을 기레3) 못 살겄네 / 비땅은4) 어따 두고 당글개로5) 나를 친가 덩기둥덩에 둥덩에덩 개 개고리 담장에6) 꼬 꼿말을 까고서7) / 으슴한 달밤에 날 불러낸다 / 덩기둥덩에 둥덩에덩 메느리 술갑은 열닷냥 씨압씨 술갑은 홑닷냥 / 섣달 금날이8) 뚝 다친께 씨압씨 상투가 싹 없어진다 덩기둥덩에 둥덩에덩 곤 보신9) 곤 보신 씨아버지 해 주신 곤 보신 / 신을 지 모르면 신지를 말제 신었다 벗었다 부싯집 맨든다10) 덩기둥덩에 둥덩에덩 1)녹진나리→녹진나루: 진도 군내면 녹진리에서 해남 우수영으로 건너가는 나루. 2)은절미→인절미. 3)기레→그려. 4)비땅: 부지깽이. 5)당글개→당그레: 재를 긁어내는, 나무로 된 연장. 6)개고리 담장: 담장 및 으슥한 곳. 7)꼿말을 까고서: 꼿말은 허리춤. 따라서 발가벗었다는 뜻. 8)섣달 금날→섣달 그믐날. 9)윤선(輪船): 화륜선(火輪船)의 준말. 기선(汽船). 10)곤 보신→고은 버선. 11)부싯집 맨든다: 부싯집→부싯깃. (버선을 신을줄 몰라 신었다 벗었다 하며) 못쓰게 만든다는 뜻. 부싯깃은 부싯돌을 칠 때 불똥을 받아서 불을 붙이는 쏘시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