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리랑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리의 아리랑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여럿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여럿 |
지역개관 | 우수영은 동외리, 동내리등 10개 理로 이루어져 있다. 1971년 민속놀이 <강강술래>가 중요 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고, 1987년 <부녀농요>가 전라남도 문화재로 지정되는 등 민속놀이, 농요가 풍부한 곳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월 18일에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리에서 채집한 아리랑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전남지역에서는 진도아리랑을 보통 아리랑타령이라는 명칭으로 더 많이 부른다. |
가사 | 아리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 아리 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 만경창파에 두둥 뜬 배 어기여차 어야 디여라 노를 저어라 아리 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 시엄씨 죽으라고 공딜에 농께1) 친정엄매 죽었다고 전부가 왔네 아리 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 문전 새전에2) 웬 고갠고 구부야 구부구부가 눈물이로고나 아리 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 씨엄씨 잠자라고 이불을 덮었더니 새복바람 찬 바람에 감기가 들었네 아리 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 큰애기 볼라고 울타리 넘다 세루야 웃양복3) 다 찢어졌네 아리 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 날시가 좋아서 빨래질 갔드니 못된 놈 만나서 도팍비개를4) 비었네 아리 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 저 건네 저 가시나 앞가심 보아라 연출없는5) 수박이 두 통이나 널었네 아리 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 이 아래 강로야6) 육로길이나 되아라 내 발로 걸어서 내 고향이나 갈란다 아리 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 수수쌀 태낀 줄7) 번번이 알면서 멩감씨8) 태끼냐고 말붙임 하네 아리 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 1) 공딜에농께 → 공들여놓으니. 2) 문전새전에 : 문경새재는. 3) 세루야 웃양복 : 세루는 모직물의 한가지. 4) 도팍비개 : 돌베개. 5) 연출없는 : 넝쿨없는. 6) 강로(江路). 7) 태낀 줄 : 태끼다는 대끼다의 사투리로 애벌 찧은 보리나 수수같은 것을 물을 조금 쳐 가면서 마지막으로 깨끗이 찧다. 8) 맹감씨 : 산에서 나는 식물인 맹감의 씨. 수수씨와 비슷하게 생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