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꿩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해남군 산이면 금호리의 꿩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하임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하임 |
지역개관 | 금호도는 목포에서 뱃길로 20여분, 다시 버스로 30여분쯤 가야하는 곳이다. 원래는 섬이었으나, 91년도 대규모 간척사업으로 육지와 연결되어 버스가 다닌다. 예전에는 반농반어였으나 지금은 아낙네들이 굴채취만 소일삼아 할 뿐 바닷일은 차츰 줄어들고 있다. 가구수는 110여호.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월 19일에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금호리에서 채집한 꿩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하임이 참여하였다. 제보자가 어렸을 때 어머니에게 듣고 배운 노래이다. 어렸을 때 친구들과 산에 나무하러 가거나 도토리, 고사리를 캐러 갈 때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꿩꿩꿩 장닥꿩1)
꿩 한나가 내론다 단풍드는 콩밭이로 가가감실 날아든다 너는 너는 이 골 줍고 난데없는 물콩2) 한나 어허둥실 갱겠구야 묵지마오 묵지마오 영감에 묵지마오 간밤에 꿈을 꾸니 도매가 탕탕 울려뵈요 지집년이 요망하먼 조장3) 안에가 범이 들어 그 물콩을 덜컥 생게4) 시오리 눈썹5) 사르라니 감어 어풀싸가 죽었구나 요내 내가 죽거들랑 뒷동산에 양지밭에 양지갓테다6) 묻어주오 이내 니가 죽은들로 빼딱인들7) 냉길소냐 마래밑에 거멍개를 거멍개를 부어준들 빼딱인들 남을소냐 이내 털이 냉기그등 뒷동산 양지쪽에 털이라도 묻어주소 털이라냐 냉길소냐 장포장시 황애점을8) 몸지털기를 맹긴불로9) 니야 털을 냉길소냐 꿩꿩꿩 장닥꿩 죽었구야 죽었구냐 어허풀싸 죽었구야 1) 장닥꿩 : 장끼. 꿩의 수컷. 2) 물콩 : (꿩 따위를 잡으려고) 약을 놓은 콩. 3) 조장 → 도장 : 도장방, 규방, 부녀자들이 거처하는 방. 4) 생게 : 삼켜. 5) 시오리눈썹 : 속눈썹. 6) 양지 갓테다 → 양지 가에다. 7) 빼닥 : 뼈다귀. 8) 장돌장시 황애점을 : 장돌장시는 황아장수. 황애점은 황아를 파는 가게. 황아는 담배쌈지, 바늘, 실 따위의 모든 잡실뱅이의 물건. 9) 몸지털기 맹긴 불로 : 먼지털이를 만든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