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각설이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해남군 산이면 금호리의 각설이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행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행님 |
지역개관 | 금호도는 목포에서 뱃길로 20여분, 다시 버스로 30여분쯤 가야하는 곳이다. 원래는 섬이었으나, 91년도 대규모 간척사업으로 육지와 연결되어 버스가 다닌다. 예전에는 반농반어였으나 지금은 아낙네들이 굴채취만 소일삼아 할 뿐 바닷일은 차츰 줄어들고 있다. 가구수는 110여호.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월 19일에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금호리에서 채집한 각설이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행님이 참여하였다. 품바타령이라고도 한다. 입으로 품바품바하는 것이라든가 동냥 한푼 달라고 외쳐대는 것이 실감난다. |
가사 | 에 시구 시구 시구 시구 들어간다
얼 시구 시구 들어간다 이 때 맞춰 어느 때냐 강창시절이1) 봄이 되아 잎은 피어서 꽃이 되고 잎은 피어서 청산이고 헤 품바라 장타랑 헤 품바라 장타랑 질로 질로 가다가 샛질로 가다가 돈 한 닢을 줏었네 한 푼 줏으면 밑가요2) 두 푼 줏으면 허용자3) 허용자가 남드냐 달레라 달레라 떡을 하나 사가지고 묵고 낭께 요구되요 뒷돌라보니 친구요 친구나 대적을4) 못 하먼 손구락 발구락 잘라서 친구나 대적을 하고요 에 시구 시구 잘한다 얼 시구 시구 잘한다 시용장은 개샅장5) 개똥 따밀래라6) 못 보고 남리장은7) 에펜네장 불사시러도8) 못 보고 해남장은 사람장이다 발 걸레서 못 보고 이장 저장 곡사장 제미 붙고 곡사장 에 시구 시구 들어간다 코 풀었다 흔덕장 드러워서 못 보고 헤 품바라 장타랑 헤 품바라 장타랑 우리가 이라고 댕게도 대문아 집서 나오고9) 우리가 이라고 댕게도 양반의 집서 나왔소 헤 품바라 장타랑 헤 품바라 장타랑 푸 푸 푸 푸푸푸 우리가 이라고 댕게도 대문아 집서 나왔소 우리가 이라고 댕게도 동냥 한 줌을 주시오 (“한트로 받습니다 . 동냥 한줌 주시오 ”) 에 품바라 장타랑 에 품바라 장타랑 여름 바지는 홑바지 시안 바지는10) 핫바지 봄바지는 접바지로다 헤 품바라 장타랑 우리가 이라고 댕게도 논두렁 밑에서11) 죽으먼 논 임재도 내 아들 밭어렁 밑에 죽으먼 밭 임재가 내 아들 헤 품바라 장타랑 헤 품바라 장타랑 헤 품바라 장타랑 (“동냥 한줌 주시오 한트로 받습니다 . 동냥 한줌 주시오 ”) 1) 강창시절 → 강철시절. 강철이는 악독한 용의 이름으로 이 용이 머물거나 지나간 곳은 몹시 가물어 초목과 곡식이 다 말라 죽는다 함. 여기서 강철시절은 겨울을 뜻하는 듯. 2) 밑가요 : 밑져요. 3) 허용자 : 횡재. 4) 대적 → 대접. 5) 시용장은 개샅장 : (우)수영장은 골목장. 우수영의 장은 길가에서 보는 장이라는 뜻. 6) 개똥따밀래라 : 개똥 때문에. 7) 남리장 : 해남군 황산면 남리에 서는 장. 8) 불사시러도 : 상스러워서. 9) 대문아 집서 나오고 : 대문이 있는 부자집에서 태어났다는 뜻. 10) 시안 → 세안(歲-) : 새해가 되기 전. 해가 바뀌기 전의 겨울 동안. 11) 밭어덩 : 밭두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