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신세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신세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해남군 산이면 금호리의 신세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행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행님 |
지역개관 | 금호도는 목포에서 뱃길로 20여분, 다시 버스로 30여분쯤 가야하는 곳이다. 원래는 섬이었으나, 91년도 대규모 간척사업으로 육지와 연결되어 버스가 다닌다. 예전에는 반농반어였으나 지금은 아낙네들이 굴채취만 소일삼아 할 뿐 바닷일은 차츰 줄어들고 있다. 가구수는 110여호.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월 19일에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금호리에서 채집한 신세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행님이 참여하였다. 부녀요 가운데에서도 신세타령은 너무 애절해서 노래라 하기에도 뭣하지만, 특히 섬지방이나 해변 오지의 부녀자들이 지리적 고립감 때문에 더욱 처량하게 신세타령을 부른다. |
가사 | 엄매 엄매 우리 엄매
식기에다 밥을 담고 양판에다1) 국을 떠서 닭괴기는 팍팍하고 송에 괴기2) 늑늑하고 못 살겄네 못 살겄네 아무리 해도 못 살겄네 가란다요 가란다요 밭을 매러 가란다요 불과 같이 나는 볕에 묏과 같이 지운 밭에3) 밭 한 골을 매고 나니 삼시골차4) 거듭 맨께 작게 맸다고 기걸하니5) 이 노릇을 못 살겄네 손툽 발툽 잦아지게 이것을 해서 멋을 하까 못 살겄네 못 살겄네 기가 맥헤 못 살겄네 어찌를 할까 어찌를 할까 죽자니는 청춘이오 살자니는 고생인디 이 노릇을 어찌 할까 밭 가운데 방동생이6) 호무로나 지을거나 논 가운데 가래7) 웬수 아무리 매도 아니 군네8) 집이라고 달라들먼 시누새끼 앙당앙당 암만해도 못 살겄네 이 일을 어찌 할까 엄매 엄매 우리 엄매 이내 나 잔9) 데러가게 1) 양판 → 양푼. 2) 송애괴기 → 송어고기. 3) 묏과~밭에 : 산과 같이 (풀이)우거진 밭에. 4) 삼시골차 : 삼 세골째. 5) 기걸하니 : 꾸짖으니. 6) 방동생이 → 방동사니 : 밭이나 돌에 절로 나는 잡초. 7) 가래 : 여러해살이 물풀로 논이나 늪에 자라는데 논에 자라면 곡식에 해로움. 8) 구네 : 굻다는 옹골치지 않다. 9) 잔 → 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