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에헤야 방야로세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화순군 능주면 천덕리 회덕의 논매는소리-에헤야 방야로세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00112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남도 > 화순군 |
생산지역 상세 | 능주면 천덕리 회덕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20 , 논매는소리 , 에헤야방애로세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전라남도 , 전남 , 화순군 , 1990 , 1993 , 에헤야 방야로세 , 윤재진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윤재진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윤재진 |
지역개관 | 1914년 회덕면 천년동과 회덕마을이던 곳이 행정개편후 천덕리 1구(회덕마을)와 2루(천년동마을)로 바뀌었다. 나원 윤씨 동족마을로 70여호가 살고 있다. 마을 앞에는 너른 동면들이 펼쳐져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월 12일에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천덕리 회덕에서 채집한 에헤야 방애로세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윤재진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방아타령은 전북지역에 흔한데, 전남지역에서는 곡성군과 해남군에서 들을 수 있다. 이 노래는 방아타령의 분포를 가늠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며, 가창방식도 변형된 집단 제창방식으로서 주목된다. |
가사 | 이 방애가 뉘 방앤고
강태공의 조 조작방애1) 에헤야 에헤야 방애로세 형님 베는2) 오늘날 베고 동생 베는 내 내일나 베세 에헤야 에헤야 방애로세 찰떡 치고 모떡을3) 치어서 영계4) 잡어서 우 웃짐을5) 엱고6) 에헤야 에헤야 방애로세 형님댁에 사당을7) 가세 동생도 따라서 사 사당을 가세 에헤야 에헤야 방애로세 이제 가면 언제나 갈까 오는 날이나 이 일러나 주소 에헤야 에헤야 방애로세 일락서산은 해 떨어지고 월출동령에 다 달 솟아온다 에헤야 에헤야 방애로세 1) 강태공(姜太公)의 조작(造作)방애 : 중국 주나라 초엽의 조신(朝臣) 강태공의 힘으로 목신(木神)을 누른다는 말에 따른 것. 2) 베 : 벼. 3) 모떡 : 메떡. 멥살가루로 찐 떡. 4) 영계 → 연계(軟鷄) : 병아리보다 조금 큰 닭. 5) 웃짐 : 쌓인 짐 가운데 제일 위에 놓인 짐. 6) 찰떡치고~엱고 : 추수뒤에 떡을 하고 닭을 잡아 웃어른에게 가져가던 풍습을 말함. 7) 사당(祠堂) : 조상의 신주(神主)를 모셔 놓은 집이나 집처럼 자그마하게 만들어 둔 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