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사거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화순군 화순읍 내평리의 논매는소리-사거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성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정성환 |
지역개관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내평리는 예전에는 내평리 안에 평림, 내촌, 사촌 세 자연마을이 있었는데, 행정개편이 되면서 지금은 내평리 하나로 통합되었다. 모두 92호가 주로 벼농사와 밭농사를 주로 하는데 특히 밭농사에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 예전에는 밭작물로 양잠업을 많이 했으나 인력난으로 그만두고, 그후 길경(도라지)을 재배해서 농가소득을 많이 올렸으나 연작이 않돼 지금은 단감, 지추 등의 작물로 바꾸고 있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월 12일에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내평리에서 채집한 사거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성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초벌, 한벌, 군벌, 만드리 순으로 서너차례 논을 맸다. 초벌은 호미로 땅을 파 뒤엎고, 한벌은 손으로 흙을 고르며 풀을 뽑아내고, 군벌과 만드리 역시 손으로 풀을 뽑는다. 이 마을 논매는 소리는 초벌과 한벌에는 <사거리>, 군벌과 만드리에는 <사거리>, <된사거리>, <매화타령>을 부른다. 초벌, 한벌보다 군벌, 만드리 때 여러 종류의 노래가 불려지는 이유는 “일이 수월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여기에는 <사거리>만을 수록하였다. |
가사 | 사하아 아하아 에헤뒤허 어허뒤허
사아하아 어허뒤허 어허뒤허 노자 좋네 젊어 청춘에 놀아보세 위 사아하아 어허뒤허 어허뒤허 날 다려 가소 날 다려 가소 어허 위 사아하아 어허뒤허 어허뒤허 금년 시절은 대풍년이로구나 (어 그렇체 ) 대풍년이로고나 헤 위 사아하아 어허뒤허 어허뒤허 일락서산에 해 떨어지고 월출동경에1) 달 솟아온다네 헤 위 사아하아 어허뒤허 어허뒤허 가네 나는 가네 임을 버리고 나는 가네 에헤 위 사아하아 어허뒤허 어허뒤허 1) 월출동경 → 월출동령(月出東嶺) : 달이 동쪽 고갯마루에서 떠오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