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떡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화순군 이양읍 묵곡리 월암의 떡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상록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상록 |
지역개관 | 월암마을은 마을 뒷산에 큰 바위가 있다하여 붙혀진 이름인데, 마을 앞으로도 산이 솟아있어 마을 전체가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면서도 그 안에 텃들 초동들 뫼봉들 등의 농지가 있어서, 총 23호의 월암마을 주민들의 주 소득원은 예로부터 벼와 보리이고, 밭작물로 콩 고추 깨 등이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월 10일에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읍 묵곡리 월암에서 채집한 떡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상록이 참여하였다. 가창자가 스무살 무렵에 장흥 사는 친구에게 배운 노래라고 한다. 지역마다 특징있는 갖가지 떡이 등장해 흥미롭다. |
가사 | 떡 떡 배피떡1)
기피고물에2) 찬시리떡3) 서울 사람은 설기떡 전라도 사람은 찰떡 들녁 사람은 쑥떡 산중 사람은 칡가리떡4) 해변 사람은 파래떡 제주 사람은 감자떡 황해도 사람은 서숙떡5) 경상도 사람은 기정떡6) 전라도 사람은 무지떡7) 이 떡 저 떡 배를 무어8) 찰떡으로 밑을 깔고 문지떡으로9) 칠을 박고10) 대떡으로11) 돛을 달아 조청강에다 띄워 좋고 북을 두둥둥둥 어기야 디야차 어야뒤야 어허 어야디야 어야디야 어기야디야 차 1)배피떡: 개피떡. 2)기피고물→거피(去皮)고물: 콩, 팥, 녹두 등의 껍질을 벗기고 빻아서 만든 고물. 3)찬시리떡: 찰시루떡. 4)칡가리떡: 칡뿌리로 만든 떡. 5)서숙떡: 좁쌀로 만든 떡. 6)기정떡→기장떡. 7)무지떡: 무시떡, 무떡. 8)배를 무어: 배를 지어. 9)문지떡: 먼지처럼 발이 고운 떡이라 함. 10)칠을 박고: 배의 판자를 이은 사이에 물막이를 하는 것을 일컬음. 11)대떡: 가래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