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화순군 화순읍 내평리 사촌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성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정성환 |
지역개관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내평리는 예전에는 내평리 안에 평림, 내촌, 사촌 세 자연마을이 있었는데, 행정개편이 되면서 지금은 내평리 하나로 통합되었다. 모두 92호가 주로 벼농사와 밭농사를 주로 하는데 특히 밭농사에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 예전에는 밭작물로 양잠업을 많이 했으나 인력난으로 그만두고, 그후 길경(도라지)을 재배해서 농가소득을 많이 올렸으나 연작이 않돼 지금은 단감, 지추 등의 작물로 바꾸고 있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월 10일에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내평리 사촌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성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 상여소리에는 관을 들고 마당을 세바퀴 돌면서 부르는 <관암보살>, 평지 운상소리인 <어널소리>, <너화네야>, <너화널 소리>, 산비탈을 올라갈 때 부르는 <나무아미타불>이 있는데, 평지 운상소리는 위의 세가지 소리를 계속 돌아가며 7절씩만 부르는 것이 특징이다. <나무아미타불>은 여기에 수록하지 않았다. |
가사 | 관암 보살
관암 보살 가네 가네 집을 하직을 하고 나는 가네 보살 관암 보살 이제 가시면 언제 오실라요 보살 관암 보살 어널 어허널 어널 어허널 가오 가오 나는 가오 어널 어허널 임을 버리고 나는 가오 어널 어허널 못 가겄네 못 가겄네 어널 어허널 북망산천이1) 머다더니 어널 어허널 건너 안산이2) 북망일세 어널 어허널 허허 어허허이 헤헤헤야 어허리 넘자 너화네야 허허 어허허이 헤헤에야 어허리 넘자 너화네야 이제 가시면 언제 오실라요 오시는 일자나 일러주소 허허 어허허이 헤헤에야 어허리 넘자 너화네야 정방하기3) 춘풍시에 꽃이 피거든 오실라요 허허 어허허이 헤헤에야 어허리 넘자 너화네야 노다 갈라네 노다가 갈라요 마지막 가는 길에 노다가 갈라요 허허 어허허이 헤헤에야 어허리 넘자 너화네야 불쌍허네 불쌍허네 돌아가신 맹인양반4) 불쌍허네 허허 어허허이 헤헤에야 어허리 넘자 너화네야 너화널 너화널 어리가리 넘자 너화널 너화널 너화널 어리가리 넘자 너화널 너화 너화 너화 넘자 어리가리 넘자 너화널 너화널 너화널 어리가리 넘자 너화널 못 가겄소 못 가겄소 노비가 적어서 너화널 너화널 너화널 어리가리 넘자 너화널 이 돈 백만원은 누가 내셨소 큰 사우께서 너화널 너화널 너화널 어리가리 넘자 너화널 이 돈 십만원은 누가 내셨소 큰 따님께서 너화널 너화널 너화널 어리가리 넘자 너화널 하직을 허요 하직을 허요 마지막 가신 길에 너화널 너화널 너화널 어리가리 넘자 너화널 꿈아 꿈아 무정한 꿈아 오시난 님을 너화널 너화널 너화널 어리가리 넘자 너화널 명년 춘삼월 다시 오면 이 꽃이 핀다고 너화널 너화널 너화널 어리가리 넘자 너화널 1) 북망산천(北邙山川) : 묘지가 있는 곳, 즉 사람이 죽어서 가는 곳을 이르는 말. 2) 안산(案山) : 집터나 묏자리의 맞은 편에 있는 산. 3) 정방하기 : 동방화개(東方花開)인 듯. 4) 맹인 → 망인(亡人).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