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멸치잡이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대표어업 > 멸치잡이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제주도 북제주군 추자면 묵리의 [멸치잡이] 멸치잡이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00402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
생산지역 상세 | (구 북제주군) 추자면 묵리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20 , [멸치잡이]멸치잡이소리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대표어업 , 멸치잡이소리 ,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도 , 제주 , 제주시 , 1990 , 1993 , 멸치잡이소리 , 윤성하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윤성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윤성하 |
지역개관 | 하추자도에 속한 묵리는 총 가구수 93호에 김해김씨, 해남 윤씨가 주로 모여 산다. 마을 주위에는 돈배산 앞산 뒤산이 에워싸고 있고, 마을 서쪽에는 바다가 있는 전형적인 어촌마을이며, 추자에서는 유일하게 벼를 경작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4월 2일에 제주도 북제주군 추자면 묵리에서 채집한 멸치잡이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윤성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멸치잡이소리에는 출어하기 전 닻줄을 올리면서 부르는 <닻캐는 소리>, 출어 후 노를 저으면서 부르는 <노젓는 소리>, 멸치떼를 몰면서 부르는 <멜모는 소리>, 멸치를 푸면서 부르는 <가래소리>, 만선이 되어 집으로 돌아올 때 부르는 풍장소리인 <상사소리>가 있다. 몇십년만에 불러본 소리인데도 실감나게 재현되었다. 신안, 진도, 여천군 지역의 뱃노래와 또 다른 독특함이 있고, 특히 <상사소리>는 육지의 모심는 소리를 적절히 변용하여 신명나는 만선 풍장소리로 만든 점이 돋보인다. |
가사 | <닻캐는 소리 1>
(“자! 잧 당그고 나갑시다.”) 엥이야 엥이야 엥이야 엥이야 엥이야 엥이야 (“닻 올랐습니까? 닻 올랐으먼은 인자 나가게출로1) 합시다. 이물사공님이 어디를 강가허니 횡간도 추가를 가자고 합니다. 그랑께 이왕이면 멀리 횡가도를 갑시다. 어떻게 열중해서 선물을2) 걸고 한번 나가게출로 합시다.”) <놋소리 1> 어허갸 어허 어아 어아 어허야 어야 어야 어야 어허야 디야 어야 어야 어야 어야 인제 가면 언제 올끄나 나도 올 줄 모르겄네 어야 어야 어야 어야 아어야 어허야 디여 어야 어야 어야 어야 만경창파 가실 날로3) 우리 한번 나가보세 어야 어야 어야 어야 아어허야 어허야 디여 어야 어야 어야 어야 소실단풍4) 찬바람에 울고가는 저 기러그 어야 어야 어야 어야 아어허야 어허야 디여 어야 어야 어야 어야 마오 마오 그리 마오 사람 괄시를 그리 마오 어야 어야 어야 어야 어야 아하야 어허야 디여 어야 어야 어야 어야 백사장 너를 들녁 봄비 오기만 기달리고 어야 어야 어야 어야 어허야 어허야 디요 어야 어야 어야 어야 세월아 네월아 오고가지 마라 아까운 청춘간다 어야 어야 어야 어야 아어야 어허야 디여 어야 어야 어야 어야 연출연출 박연출은 담장너메 손을 준디5) 어야 어야 어야 어야 아어허야 아허야 뒤여 어야 어야 어야 어야 항구야 나를 아느냐 어허야 디여 어야 어야 어야 어야 (“아 원만히 도달했으먼 이물사공이 닻을 주라고 하니 닻 줍시다. 좀 쉬어 갖고 인자 해 저물어지먼 멜 잡게출로 합시다.” <닻캐는 소리 2> (“자! 닻 캐쇼. 얼른, 해졌소”) 엥이야 엥이야 엥이야 엥이야 엥이야 엥이야 어야디야차 (“닻올랐습니까? 닻 올랐으믄 인자 어디 깔작깔작 우리 멜치를 찾으러 나가봅시다.”) <놋소리 2> 어허갸 어허어 어허 어허 어기야 어야 어야 뒤야 어하 어하 어하 어하 세월아 네월아 오고가지 마라 어허야 디야 어하 어하 어하 어하 아어야 어허야 뒤요 어하 어하 어하 어하 마오마오 그리마오 아까운 우리 청춘 어하 어하 어하 어하 아어 허야 어허야 뒤요 어하 어하 어하 어하 백사장 너를 들녁 봄비오기만 기달리고 어하 어하 어하 어하 어허야 <멜모는 소리> (“어요 뒤요…” “자!…” “멜나온다 멜나온다.” “덩덩궁다궁” “장대 질러라!” “질러!” “아~!”) <가래소리> 어기야 받어라 어야 받어라 녹음에 삼촌이6) 출몽이 되고 어야 받어라 허기여차 받어주소 어야 받어라 세월이 가고 봄이 오면 어야 받어라 어야 받어주소 어야 받어라 춘화춘풍 강우설은7) 어야 받어라 어야 받어라 어야 받어라 세월아 네월아 오고가지 말어라 어야 받어라 춘삼월이 누구 믿고 어야 받어라 어이여차 받어주소 어야 받어라 청산녹수가 벤하면 변했지 어야 받어라 우리 배 서낭이 벤할소냐 어야 받어라 아허야 받어주소(“고만실어” “배까라앉어”) 어야 받어라 노자노자 젊어 노자 어야 받어라 젊어 벌어 늙어 노세 어야 받어라 어기여차 술비로다 어야 받어라 (“요만하먼 대장부살림이 넉넉하겄구만.”) (“이자 고기에 물을 뽀득뽀득 되갖고 우리 고향을 찾어 들어갑시다.”) <놋소리 3> 어허갸 어허 어하 어하 어하 어하 어하 어가뒤야 뒤기야 어하야 뒤여 어하 어하 어하 어하 아어 허야 어허야 뒤야 어하 어하 어하 어하 마라마라 너 그리 마라 어허야 뒤요 어하 어하 어하 어하 산천초목 잔별 많고 수실우양 벗 많네8) 어하 어하 어하 어하 아어 허야 어허야 뒤여 어하 어하 어하 어하 춘하추동 사시절은 변헐 줄을 모르는디 어하 어하 어하 어하 어 허야 어허야 뒤여 어하 어하 어하 어하 (“아 여보소요 저 어떻게좀 기를 좀 시고, 에, 마을에 들어가니까 상사소리를 하고 들어갑시다.”) <상사소리> 아 아아로 상사뒤요 아 아아로 상사뒤요 어기야 허야 상사뒤요 (어 허이갸) 아 아아로 상사뒤요 우리배 사공은 팔자가 좋아 (어 허이갸) 아 아아로 상사뒤요 떠들어온다 떠들어오네 (어 허이갸) 아 아아로 상사뒤요 우리배 선주는 이성기요 (어 허이갸) 아 아아로 상사뒤요 녹음방초 성화수는9) (어 허이갸) 아 아아로 상사뒤요 어기야 뒤야 상사뒤요 (어 허이갸) 아 아아로 상사뒤요 세월아 네월아 오고 가지 마라 (어 허이갸) 아 아아로 상사뒤요 어 허갸 상사뒤요 (어 허이갸) 아 아아로 상사뒤요 산천초목은 화상은 지고 (어 허이갸) 아 아아로 상사뒤요 지화삼경에 무정이 인데10) (어 허이갸) 아 아아로 상사뒤요 천리 만리 구만리여 (어 허이갸) 아 아아로 상사뒤요 어 어허갸 상사뒤요 (어 허이갸) 아 아아로 상사뒤요 어갸 어허야 상사뒤요 (어 허이갸) 아 아아로 상사뒤요 1) 나가게출로 : 나가게끔. 2) 선물 : 썰물. 3) 가실 날로 : (뜻 모름). 4) 소실단풍 → 소슬단풍 : (가을의)소슬바람에 지는 단풍. 5) 연출~손을 준디 : 연출은 넝쿨. 손을 준다는 손을 주는데 담장너머로 덩쿨 이 뻗어 간다는 뜻. 6) 삼촌 (三春) : 봄의 석달 동안. 7) 춘화춘풍 강우설은 → 춘화추풍 강우설(春花秋風 降雨雪)은. 8) 수실우양 벗 많네 : (뜻 모름). 9) 녹음방초 성화수는 → 녹음방초 승화시는(綠陰芳草 勝花時-) : 녹음방초가 꽃보다 나을 때는. 즉 첫여름은. 10) 산천초목은~인데 : (뜻 모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