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이거리 저거리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아동놀이노래 > 숫자세기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안군 진안읍 가막리 가막의 이거리 저거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권옥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권옥순 |
지역개관 | 가막마을은 진안읍의 북동쪽 끝에 위치하며, 마을 서남쪽은 높은 산으로 막혀 좁은 고갯길로 읍내와 통하고, 마을 북동쪽은 죽도(竹島)로 흘러가는 금강 상류가 가로막고 있어, 진안읍에서 가장 오지 마을 중의 하나이다. 가막리(加幕里)란 마을 이름은 장막이 겹겹이 앞을 막은 것 같은 첩첩산중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각성바지 성씨들이 비교적 늦게 개척해 사는 마을로, 기록에 의하면 조선 선조때 정여립이 이 마을 아래 죽도에 피신했다가 죽은 후, 그의 씨족들이 이곳에 정착함으로써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마을에는 정여립과 관련된 10m 정도의 성터가 남아 있다. 현재 39가구에 120여 명의 인구가 살고 있다. 주생업은 담배와 고추. 장은 마을 북쪽 고개를 넘어 진안 장을 본다. 밭매는소리, 모심는소리, 상여소리 등 총 30여 곡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5일에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가막리 가막에서 채집한 이거리 저거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권옥순이 참여하였다. 아이들이 마주 앉아 다리를 뻗어 서로 끼워 놓고 한 쪽에서부터 차례차례 두드리면서 하는 노래이다. 노래가 끝나는 순간에 짚히는 다리를 빼내고 다시 세어나가기를 반복한다. 가창자에 의하면 맨 먼저 두 다리를 다 뺀 사람이 임금, 그 다음 사람이 말, 그 다음 사람은 개, 마지막 사람은 도둑놈이 된다고 한다. 이렇게 되면 연극놀이를 하게 되는데, 임금님이 자는 시늉을 하면 도둑놈이 임금님의 돈을 훔치러 오는데, 이를 발견한 개가 멍멍하고 짖으면 그 소리를 듣고 임금님이 일어나서 말을 타고 도둑놈의 집으로 가서 도둑놈을 붙잡아다가 옥에 가둔다. 이 때 감옥은 방의 가장 어둡고 침침한 구석에다가 정해 놓고 그곳에다가 도둑놈역을 맡은 사람을 한참 동안 처박아 둔다고 한다. |
가사 |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
진지만지 더만지 짝발이 호양끈 도리매 장치 장독개 칠팔월에 무서리 동지 섣달 대서리 개천에 가 빠져도 엡혀왔나 살려왔나 고두레 뚱 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