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안군 용담면 호계리 호암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연옥, 배정례, 정재환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연옥, 배정례, 정재환 |
지역개관 | 용담면(龍潭面)은 진안군의 북쪽에 위치하여 충남 금산을 거쳐 대전으로 통하는 관문이다. 호암(虎岩)마을은 김효자 설화와 관련된 마을로 범바위라고도 한다. 260년 전부터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하며, 현재 60가구 150여 명이 거주한다. 주생업은 벼농사와 인삼. 장은 용담 장을 보고, 큰 장을 보려면 진안이나 대전으로 간다. 용담댐 건설에 따라 수몰될 예정. 주로 모심는소리(70수), 밭매는소리(36수)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5일에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 호계리 호암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연옥, 배정례, 정재환이 참여하였다. 전북 동부 산간지역(무주·진안·장수와 남원의 일부지역)의 모심는소리이다. 이 지역의 가장 대표적인 노동요. 창법은 이른바 메나리조이며, 가창방식은 교환창이다. 특히, 이 마을 창자들의 노래구절 중간마다 소리를 길게 빼면서 목을 굴리는 하으하, 허으허, 호우호, 헤이헤 등은 메나리조의 맛을 제대로 느끼게 해준다. 이 노래는 이 지역의 밭매는소리와 창법 곡조 및 가창방식이 다 같고, 가사도 대부분 함께 사용하는 것들이 많다. 영남지방의 모심는소리와 같은 계통이다. 반면, 전북 서부 평야지역(익산·옥구·김제·정읍·부안·고창 등지)에서는 모심는소리를 이른바 상사소리로 부른다. |
가사 | 가: 서 마지기 논배미가 반달만치 남어 있네
나: 늦어가네 늦어를 가네 점심 참수가 늦어를 가네 가: 청천에 하늘에는 잔별도 많은데 요내여 가슴에는 수심도 많네 가: 여기도 꽂고 저기도 꽂고 쥔네 마누래 거기도 꼽세 나: 세월아 봄철아 오고 가지 말게 아까운 내 청춘 다 늙어 가네 가: 세월이 갈라면 저 혼자 가지 알뜰한 내 청춘 데리고 가냐 나: 일락서산에 해가 뚝 떨어지고 월추야 동산에 해가 불끈 솟았네 가: 일락서산에는 해 떨어지고 월출에 동산 달이 돋아 오네 나: 노세 놀아 저리 젊어서 노세 늙고야 병든게 나 못 놀것네 가: 정선읍내 물레방아는 물을 안고 도는데 경상도 큰애기 나만 안고 도네 나: 놀로 가세 놀로 가세 월선에 방으로 놀로 가세 가: 월선이는 간 곳 웂고 거문금 한 쌍만 걸려 있네 (“잘 한다, 박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