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콩밭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밭매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안군 용담면 호계리 호암의 밭매는소리-콩밭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연옥, 배정례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연옥, 배정례 |
지역개관 | 용담면(龍潭面)은 진안군의 북쪽에 위치하여 충남 금산을 거쳐 대전으로 통하는 관문이다. 호암(虎岩)마을은 김효자 설화와 관련된 마을로 범바위라고도 한다. 260년 전부터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하며, 현재 60가구 150여 명이 거주한다. 주생업은 벼농사와 인삼. 장은 용담 장을 보고, 큰 장을 보려면 진안이나 대전으로 간다. 용담댐 건설에 따라 수몰될 예정. 주로 모심는소리(70수), 밭매는소리(36수)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5일에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 호계리 호암에서 채집한 콩밭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연옥, 배정례가 참여하였다. 앞의 모심는소리와 같은 곡조로 부르며, 가사만 밭일과 관련된 것이다. 앞의 모심는소리와 함께 동부민요의 영향을 보여주는 노래이다. 후렴구 없이 곧바로 노래를 이어 나아가야 하므로 가사가 매우 다채롭게 발달했다. |
가사 | 가: 이내 밭골 어여 매고 임으 밭골 맞이나 들세
나: 맞이 들믄 임이 올라던가 앉어 매며 마중 감세 가: 못 다 맬 밭 다 맬라다 금봉채1) 한 쌍을 잃고나 가네 나: 빤작빤작 은비녀 꼭지 꺼적문 안에서 날만 쇡이네 가: 어떤 사람 팔자 좋아 신선 같은 기와집에 나려 드는데 이내 팔자 호미자루 웬 일인가 나: 노랑 노랑 새 삼베치매야 조롬조롬 상내가2) 나네 가: 팔라당 팔라당 오복수 댕기는3) 곤때도4) 안 묻어 날받이가5) 왔네 나: 우연히 든 정은 뻿골이 맺히고 얼마나 보면은 새이드락6) 볼꺼나 가: 청춘에 할 일이 뭐이 그리 없어서 엿목판 지고서 세월만 보내냐 나: 우리가 이라다 꽃 속이나 든다면 어느야 친구가 날 찾어 오느냐 가: 날 오라네 날 오라 하네 산골짝 큰애기 날 오라 하네 나: 오라길랑 오래다 놓고 문만 걸고 잠만 자네 가: 바람은 불씨락 내급만7) 나리고 아들은 볼씨락 사량만 나네 나: 청천 하늘에 잔별도 많고 요내 가슴에 수심도 많네 가: 시내 갱변 자갈도 많고 요내여 가슴 속에 수심도 많네 1) 금봉채(金鳳釵): 금으로 봉황(鳳凰)을 새겨서 만든 비녀. 2) 상내: 향내. 3) 오복수 댕기: 오복수(五福繡)를 놓은 댕기. 4) 곤때도: 고운 때도. 5) 날받이: 결혼 날짜를 정하는 일, 또는 그런 일을 맡은 사람. 6) 새이드락: 새도록 7) 내급: 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