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소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안군 성수면 중길리 오암의 소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양예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양애 |
지역개관 | 성수면은 1914년 군·면 통폐합에 따라 새로 개편된 면으로, 면내에 있는 가장 높은 산인 성수산의 이름을 따라 성수면(聖壽面)이라 했다. 오암(五岩)마을은 처음에는 우암(牛岩)이었으나, 조선시대 말엽에 김해 김씨 5가구가 이곳에 정착하면서부터 오암이라 했다고 한다. 현재 23호, 70여 명이 살고 있으며, 현재 주생업은 잎담배·벼·고추 등. 밭매는소리, 소타령을 비롯한 각종 동물에 관한 노래, 삼삼는소리, 장타령, 불무소리 등, 약 40여 편의 민요가 수집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7일에 전라북도 진안군 성수면 중길리 오암에서 채집한 소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귀녀가 참여하였다. 이 소타령은 판소리 명창 권삼득의 일화에 얽힌 노래라고 한다. 권삼득이 장관들(또는 대가댁) 연회에 명창이라 불려가서 노래를 하는 자리에서 장관 부인들을 농하는 “단장 안에 꽃이야”하는 노래를 불러, 이를 눈치챈 장관들의 호통으로 옥에 갇힌다. 며칠 후에 죽이려고 끌어냈는데 그 자리에서 “이왕 죽는 마당에 소를 한번 울렸다 웃겼다 해보겠다”고 말하고 부른 노래가 바로 이 소타령이라고 한다. 또한 이귀녀 할머니는 마냥 집을 비우는 남편의 행실 때문에 자결하려는 자기 부인을 권삼득이 달래는 일화에 관련된 베틀노래도 불렀다. |
가사 | “소타령이 나오는디,오늘은 내가 이왕으 죽을텡게로,저 소를 한번 윗겻다 울렸다 허고 죽을란다고 장원들 보고 허닝게, 니까짓 놈이 어뜩케 소를 울렸다 웃겻다 헐라냐고 그러드래야. 긍게 이따 보라고, 인자 그 소타령을 헌단 말여.”
삼사월 진 진 해여 마른 땅은 밭을 갈아 추진 땅은 논을 갈아 하루 갈고 이틀 갈고 닷새 엿새를 갈고 보니 굵은 뻬는 어긋나고 잔 뻬는 녹아난다. 집이라고 들어가니 사흘 나흘 썩은 구정물 한 통을 들이대니 먹을 정이 전혀 없어 아니 먹응게 동네 공사가1) 났구나 그 소 병들었다고 잡으라고 공사가 났구나 “그렁게 소가 피익 웃더래야. 픽 웃어. 인자, 소가. 저 속으 있는 소리를 헝게로.” 일년 열두달 선영 봉제사 허고 먹으라고 농사 지어 주닝게 무신 죄로 나를 잡을라고 도수장2)으 날 달리냐 도수장으 들어가니 전후 좌우 늘어섰고 천하명산 재주 좋은 놈 한 손에는 도치 들고 한 손에는 칼을 들고 섰는 것 육천 마디가 다 죅이네3) 도치뿔로 한 번 치고 두 번 치니 이내 몸이 넘어 닥치는소리 좁은 골짝으 천둥허듯 허는구나 이내 털은 문때내야4) 화장터로 들어가고 이내 가죽 벳겨내야 북장구로 다 나가고 이내 피는 받어내야 대동강으 떼우시고 이내 뿔은 빼여내야 옥등잔에 걸으시고 이내 뻬는 깎아내야 선배님의5) 칼자루 각시님의 뿔비녜로 다 나가고 이내 살은 한 냥 두 냥 사또 상에 다 오르네. “헝게로 소가 눈물을 쑥쑥 빼고 빠치고 울어. 웅게로 그렁게 죽일라고 날 받아놔서 죽일라다가, 야! 이놈아 가서 니 재주대로 살으라고 안 죽이드래요.” 1) 공사(公事): 공적인 의논거리. 2) 도수장(屠獸場): 소 돼지 등을 잡는 곳. 도살장(屠殺場). 3) 죅이네: 조여드네. 4) 문때내야: 문대내어. 마구 문질러 내어서. 5) 선배님: 선비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