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꿩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안군 성수면 중길리 오암의 꿩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귀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귀녀 |
지역개관 | 성수면은 1914년 군·면 통폐합에 따라 새로 개편된 면으로, 면내에 있는 가장 높은 산인 성수산의 이름을 따라 성수면(聖壽面)이라 했다. 오암(五岩)마을은 처음에는 우암(牛岩)이었으나, 조선시대 말엽에 김해 김씨 5가구가 이곳에 정착하면서부터 오암이라 했다고 한다. 현재 23호, 70여 명이 살고 있으며, 현재 주생업은 잎담배·벼·고추 등. 밭매는소리, 소타령을 비롯한 각종 동물에 관한 노래, 삼삼는소리, 장타령, 불무소리 등, 약 40여 편의 민요가 수집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7일에 전라북도 진안군 성수면 중길리 오암에서 채집한 꿩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귀녀가 참여하였다. 사람이 놓은 덫이나 총에 죽는 꿩의 신세를 노래하는 꿩타령. |
가사 | 저그 가는 저 귀인은 뉘이신가
나도야 귀인이요 육십각으 부모 두고 이십각으1) 아내 두고 금년산에 꽃을 두고 희롱산에 태자 두고 태산 부채 옆에 차고 만화봉을 올라시니 총소리가 가차우니 아이고 답답 내 신세야 1) 육십 각으: 육십 객의. 육십 세 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