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원평지의 논매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황덕주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황덕주 |
지역개관 | 마령(馬靈)면은 진안군에서 가장 넓고 기름진 평야가 전개되어 있는 곳이고, 유명한 마이산(馬耳山)을 거느리고 있다. 원평지(元平地)마을은 마령면에서 가장 크고 들판도 넓은 마을로, 삼국시대 백제의 현령(縣)으로 당시 완산주(完山州) 99현 중의 하나였던 마돌현(馬突縣) 때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역사 깊은 마을이다. 옛날 당시의 현터, 감옥터, 빙고터, 사정터 등이 남아 있으며, 6기의 지석묘도 발견되었다. 성씨로는 오(吳), 최(崔) 천(千) 등이 많이 거주하고, 현재 100여 호 800여 명의 주민이, 벼·인삼·잎담배·고추를 주생업으로 하여 살고 있다. 상사소리, 양산도, 산타령, 방개타령, 에휘 싸오, 뚜름마 헤, 매화타령, 섬마타령 등의 각종 벼농사에 관련된 노동요와 상여소리, 목도소리, 터다지는소리 등 약 20여 곡이 채록되었다. 특히, 이 마을에서는 전북 동부 산간지역치고는 매우 드물게, 모를 심을 때 상사소리를 부르고, 여러 곡으로 분화된 논매는소리가 채록된 점이 특기할 만하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7일에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원평지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황덕주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산타령은 손으로 두벌 맬 때 양산도 다음에 또는 저녁 무렵에 주로 불렀다고 한다. 전북 서부평야지대인 진안, 옥구, 김제군에서 많이 들을 수 있으나 전라남도에서는 동부산간지역에서 많이 부르는 논매는소리다. 받는소리가 두 가지로 구별되어 있다. 방개타령은 호미로 초벌 맬 때 또는 손으로 두벌 맬 때, 점심 먹고 나서 오후에 주로 부르는소리이다. 전북 서남부 평야지역에서 가장 많이 불려지는 논매는소리 중의 하나. 방아타령, 방개타령, 헌개타령, 연개타령 등으로 다양하게 명칭이 나타나는 노래이다. 에위 싸호는 손으로 두벌 맬 때 저녁 무렵 일이 거의 끝나갈 무렵에 부르는 빠른 노래이다. 이 노래가 끝나면서 더 빠른 뚜름마 헤로 넘어간다. 서남 평야지역에서 두루 불려지는 논매는소리 중의 하나이다. 전북에서는 일반적으로 논매기(특히 손으로 하는)가 다 끝나갈 때 바로 이런 류의 “쌈싸는소리”를 부르는데, 특히 무주·진안·장수·임실·순창·남원 등지에서는 구체적인 쌈의 종류를 각 고을의 원님과 연관지어 부르는 노랫말이 특징적이다. 뚜름마 헤는 손으로 두벌 맬 때 저녁 무렵 논매기가 거의 다 끝나갈 즈음, 앞의 에위 싸오소리에 바로 이어 부르는소리이다. |
가사 | <산타령>
허허 허허허허야 허허뒤야 산아리로고나 허허 어허허허야 어햐뒤혀 산이로고나 일락서산 해 떨어지고 월출동장께1) 달 돋아오네 에야뒤야 에헤헤어야 어야뒤혀 산이로고나 저 산 너머 소첩을 두고 밤질 걸기가 허허 난강허네 허허 에헤에 헤헤야 어야뒤허 산이로고나(잘헌다아) 간 디 족족 정들여 놓고 밤길 걸기가 난강도2) 허다 허야뒤야 에헤헤헤야 어야뒤혀 산이로고나 고만 저만을 허여를 보고 우리가 쌈을 어서 싸세3) 허허 에헤에 헤에야 어야뒤혀 산이로고나 <방개타령> 에헤야아 하하하 허어 허허어 아헤 엔개로다 에헤에야 아하하 에에 헤에 아헤 엔개로다 저 산 넘어 소호 소첩을 두고 에헤에야 아하하 에에 헤에 이 아헤 엔개로다 일락서산 해해 해 떨어지고 에헤에야 아하아 에에 헤에 이 아헤 엔개로다 <에위 싸호> 휘휘 둘러서 쌈을 싸세 에위 싸오 진안 군수는 상추쌈으로 에위 싸오 무주 군수난 곤달로쌈4)으로 에위 싸오 장수 군수는 처녑쌈으로 에위 싸오 우리 농군은 호멩이쌈으로 에위 싸오 <뚜름마 헤> 뚜름마 헤에 뚜름마 헤에 뚜름마 헤에 뚜름마 헤에 뚜름마 헤에 뚜름마 헤에 1) 월출동장께: 월출동령(月出東嶺)에. 2) 난강: 난감(難感). 3) 쌈을 싼다는 말은 조금 남은 논배미를 일꾼들이 빙 둘러 싸서 빠른 동작으로 마무리짓는 것. 4) 곤달로쌈: 곤달비쌈. 곤달비는 깊은 산에서 나는 나물로 쌈을 싸서 먹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