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매화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원평지의 논매는소리-매화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오길현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오길현 |
지역개관 | 마령(馬靈)면은 진안군에서 가장 넓고 기름진 평야가 전개되어 있는 곳이고, 유명한 마이산(馬耳山)을 거느리고 있다. 원평지(元平地)마을은 마령면에서 가장 크고 들판도 넓은 마을로, 삼국시대 백제의 현령(縣)으로 당시 완산주(完山州) 99현 중의 하나였던 마돌현(馬突縣) 때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역사 깊은 마을이다. 옛날 당시의 현터, 감옥터, 빙고터, 사정터 등이 남아 있으며, 6기의 지석묘도 발견되었다. 성씨로는 오(吳), 최(崔) 천(千) 등이 많이 거주하고, 현재 100여 호 800여 명의 주민이, 벼·인삼·잎담배·고추를 주생업으로 하여 살고 있다. 상사소리, 양산도, 산타령, 방개타령, 에휘 싸오, 뚜름마 헤, 매화타령, 섬마타령 등의 각종 벼농사에 관련된 노동요와 상여소리, 목도소리, 터다지는소리 등 약 20여 곡이 채록되었다. 특히, 이 마을에서는 전북 동부 산간지역치고는 매우 드물게, 모를 심을 때 상사소리를 부르고, 여러 곡으로 분화된 논매는소리가 채록된 점이 특기할 만하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7일에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원평지에서 채집한 매화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오길현이 참여하였다. 손으로 두벌 매기를 할 때, 석양에 주로 부르는 노래이다. 매화타령이란 명칭을 가진 노래는 12가사(歌詞) 중의 하나인 매화타령과 경기민요 중의 하나인 매화타령, 그리고 여기에 실은 노동요(논매는소리)로서의 매화타령 등이 있다. 후렴구에 매화로고오나라는 구절이 있어서 매화타령이라는 명칭이 붙여진 점에서는 경기민요와 같지만, 경기민요의 매화타령은 일정한 기능이 따로 없는 노래이다. |
가사 | 에야뒤야 에헤야 에헤야 에헤야
에에이 어허 허야라 헤루와 매화로고오나 노자 좋다 젊어서 놀자 늙어지면은 허허 나 못 노느니 에야뒤야 에헤야 에헤야 어허야 허어이 허허 허야라 에루화 매화로고오나 가면 가고 말면은 말지 네 놈 따라서 헤헤 나도나 간다 에야뒤야 에헤야 에헤야 에헤야 허어이 허허 허야라 에루화 매화로고오나 일락서산 해 떨어지고 월출동녁에 달이 돋아온다 어야뒤야 에헤야 에헤야 어허야 허어이 허허 허야라 에루화 매화로고오나 팔랑팔랑 홍갑사 댕기 헌 때도 안 묻어서 사주 다다 온다1) 에야뒤야 에헤야 에헤야 에헤야 허어이 허허 허야라 에루화 매화로고오나 1) 사주 다다온다: 사주(四柱)가 다달아 온다, 청혼 요구가 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