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섬마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원평지의 농사장원례소리-섬마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황덕주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황덕주 |
지역개관 | 마령(馬靈)면은 진안군에서 가장 넓고 기름진 평야가 전개되어 있는 곳이고, 유명한 마이산(馬耳山)을 거느리고 있다. 원평지(元平地)마을은 마령면에서 가장 크고 들판도 넓은 마을로, 삼국시대 백제의 현령(縣)으로 당시 완산주(完山州) 99현 중의 하나였던 마돌현(馬突縣) 때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역사 깊은 마을이다. 옛날 당시의 현터, 감옥터, 빙고터, 사정터 등이 남아 있으며, 6기의 지석묘도 발견되었다. 성씨로는 오(吳), 최(崔) 천(千) 등이 많이 거주하고, 현재 100여 호 800여 명의 주민이, 벼·인삼·잎담배·고추를 주생업으로 하여 살고 있다. 상사소리, 양산도, 산타령, 방개타령, 에휘 싸오, 뚜름마 헤, 매화타령, 섬마타령 등의 각종 벼농사에 관련된 노동요와 상여소리, 목도소리, 터다지는소리 등 약 20여 곡이 채록되었다. 특히, 이 마을에서는 전북 동부 산간지역치고는 매우 드물게, 모를 심을 때 상사소리를 부르고, 여러 곡으로 분화된 논매는소리가 채록된 점이 특기할 만하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7일에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원평지에서 채집한 섬마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황덕주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논매기를 다 하고 “흥이 나서 풍물치고 나발불고 머심을 새다리(사다리)에 태우고 마을로 들어오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이른바 장원질소리이며, 사랑가라고도 했다 한다. |
가사 | 어루와 섬마 섬마가 내사 헤헤이 헤헤이
노자 좋다 젊어서 놀아 늙고 병들면 나 못노느니 에헤야하 에헤이 여루와 어루화 섬마 섬마가 내사 헤이 간 디 족족 정들여 놓고 밤질 걷기가 시시낙녹허다1) 에헤야하 에헤이 여루와 어루화 섬마 섬마가 내사 헤이 오늘 해도 다 되여가고 골목골목에 연기가 난다 에헤야하 에헤이 여루와 어루화 섬마 섬마가 내사 헤에이 산도 좋고 물도 좋다 우리네 들판에 풍년이 온다 에헤야하 에헤이 여루와 어루화 섬마 섬마가 내사 헤에이 옥사장아2) 문열어 다라 불쌍한 춘향이 옥 안에 갇혀 있다 에헤야하 에헤이 여루와 어루화 섬마 섬마가 내사 헤에이 1) 시시낙녹허다: 매우 고되다, 매우 힘들다(?). 2) 옥사장: 옥쇄장(獄鎖匠). 옥에 갇힌 사람을 맡아 지키는 사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