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원평지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진호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최진호 |
지역개관 | 마령(馬靈)면은 진안군에서 가장 넓고 기름진 평야가 전개되어 있는 곳이고, 유명한 마이산(馬耳山)을 거느리고 있다. 원평지(元平地)마을은 마령면에서 가장 크고 들판도 넓은 마을로, 삼국시대 백제의 현령(縣)으로 당시 완산주(完山州) 99현 중의 하나였던 마돌현(馬突縣) 때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역사 깊은 마을이다. 옛날 당시의 현터, 감옥터, 빙고터, 사정터 등이 남아 있으며, 6기의 지석묘도 발견되었다. 성씨로는 오(吳), 최(崔) 천(千) 등이 많이 거주하고, 현재 100여 호 800여 명의 주민이, 벼·인삼·잎담배·고추를 주생업으로 하여 살고 있다. 상사소리, 양산도, 산타령, 방개타령, 에휘 싸오, 뚜름마 헤, 매화타령, 섬마타령 등의 각종 벼농사에 관련된 노동요와 상여소리, 목도소리, 터다지는소리 등 약 20여 곡이 채록되었다. 특히, 이 마을에서는 전북 동부 산간지역치고는 매우 드물게, 모를 심을 때 상사소리를 부르고, 여러 곡으로 분화된 논매는소리가 채록된 점이 특기할 만하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7일에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원평지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진호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의 상여소리는 다른 지역의 상여소리에 비해 기능에 따른 다양한 분화를 보여준다. 상여를 메고 일어서서 집을 떠나려 할 때 느릿느릿 하는소리(발인소리), 상여를 메고 집을 나서서 마을을 떠나면서 하는소리(길로 나서서 하는소리), 평지를 지나 좀 더 가파른 산을 오르며 하는소리(산 오르는소리), 장지(葬地)에 다 와서 상여를 내려놓으면서 하는소리(하관소리) 등이 따로 불려진다. 이 중에서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소리는 요령잡이(선소리꾼)가 선창을 하면 유대군이 좌, 우 두패로 나뉘어서 똑같은 후렴을 받는다. 당사자들은 “힘이 드니까”라고 설명하는데, 음악적으로는 후렴을 두 번 받아야 메기는소리, 받는소리의 길이가 맞다. |
가사 | <발인소리>
나무 아미 타불 관심 보살 관아 아아 이이 여어 관아 아아 이이 여어 관아 아아 이이 여어 이 문전을 마지막으로 떠날라니 한심하기 짝이 없다 하시네 관아 아아 이이 여어 관아 아아 이이 여어 관아 아아 이이 여어 이곳을 마지막으로 걸을라니 한심하기 짝이 없다 하시네 관아 아아 이이 여어 관아 아아 이이 여어 관아 아아 이이 여어 마지막으로 떠나는 맹인1) 존 곳이로2) 가시라고 동네양반들 염불이나 하여 주세 관아 아아 이이 여어 <길로 나서서 하는소리> 어허이 어허이 오헤 오헤 어허이 어허이 오헤 오헤 어허이 어 허이 오헤 오헤 먼 디 사람 듣기 좋고 옆으 사람 보기 좋게 출렁 출렁 잘 모시세 어허이 어허이 오헤 오헤 어허이 어허이 오헤 오헤 오헤에 오 호이 오헤 오헤 어허이 어허이 오헤 오헤 어허이 어허이 오헤 오헤 시내 강변 종도리새는3) 천 질 만 질 구만 질 떴네 어허이 어허이 오헤 오헤 어허이 어허이 오헤 오헤 가세 가세 어서 가세 하관시가 임박하네 어허이 어허이 오헤 오헤 어허이 어허이 오헤 오헤 이제 가면 언제 올까 명년 요때 올똥말똥 어허이 어허이 오헤 오헤 어허이 어허이 오헤 오헤 유대군들 욕본 질에4) 지 욕보고 출렁 출렁 잘 모시세 어허이 어허이 오헤 오헤 어허이 어허이 오헤 오헤 <산오르는소리>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너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북망산천이 멀다더니 근가지기 옆에 왔네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욕본 질에 지 욕보고 유대군들 욕들 보네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너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북망산천이 멀다드니 근가지기 옆이 있네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유대질을 맹인이 들어가면 임시발복에5) 조충허고 그 두에는 진사 감역도6) 있으리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대질허다7) 명당이다 진안에 팔명당에 제일 가는 대명당을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이 자리를 안장히여 만수청령에8) 잘 살고 보자 어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너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앞산도 첩첩허고 자리를 와보니 뒷산도 훌륭하고 대명당에 찾어와서 상주 복이로세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너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망두부텀9) 세우지 말고 석물 헐 때10) 상석부텀 먼이 놓아 비석부텀 세워 다라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너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너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어화농 어화농 어나리 농차 어화농 <하관소리> 관아 아아아 이이여어 관아 아아아 이이여어 돌아가신 맹인께서 원만헌 자리 찾어왔다 하시네 관아 아아아 이이여어 관아 아아아 이이여어 관아 아아아 이이여어 1) 맹인: 망인(亡人). 죽은 사람. 2) 존 곳이로: 좋은 곳으로. 3) 종도리새: 종달새. 4) 욕본 질에: 욕본 김에, 수고한 김에. 5) 임시발복(臨時發福): 아무 때나 항상 복이 일어남. 6) 진사(進士) 감역(監役): 둘 다 벼슬 이름. 감역은 감역관(監役官)의 준말. 7) 대질허다: 대길(大吉)하다. 8) 만수청령에: 만수천년에(萬壽千年-). 9) 망두부텀: 망두석(望頭石)부터. 망두석은 무덤 앞에 세우는 두 개의 돌기둥. 10) 석물 헐 때: 석물(石物)을 만들 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