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성주풀이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세시의례요 > 풍물패의례 > 지신밟기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안군 성수면 도통리 중평의 성주풀이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봉렬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봉렬 |
지역개관 | 이 마을은 150여 년 전부터 농악으로 유명한 마을로, 호남 좌도 농악 상쇠 김봉렬 옹이 거주하고 있다. 현재는 총 32호 70여 명의 주민이 벼·잎담배·고추·버섯 등을 재배하며 산다. 성씨는 대체로 각성바지이나, 김·전·이씨 순. 장은 마령면 소재지로 보러 가며 큰 장은 진안으로 간다. 밭매는소리, 삼삼는소리, 자장가, 성주풀이 등, 30여 편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8일에 전라북도 진안군 성수면 도통리 중평에서 채집한 성주풀이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봉렬이 참여하였다. 정초에 풍물패가 집집을 돌며 마당밟이를 할 때 집안에 들어가 치는 굿 중에 마루에서 치는 성주굿에서 부르는 노래이다. 상쇠나 굿패 중의 한 사람이 반주에 맞춰 부른다. 하지만, 김봉렬 옹의 제보에 의하면 이 노래는 부엌에서 조왕굿을 칠 때 부른다고 한다. |
가사 | 상쇠: 화동!1)
치배: 예 상쇠: 다름이 아니라 치배: 예 상쇠: 정월 대보름날 이 댁에 와서 피런허고2) 비애지가 찢어지게 먹었네. 그러고, 피런허고 배꼭지가3) 요강꼭지가 되드락 솟아버렀어. 치배: 예 상쇠: 그런디 우리 성주굿을 치는디, 치배: 예 상쇠: 어뜨코 치는고는, 치배: 예 상쇠: 먼 먼들어지게4) 농 노그라지게 친다 그말여. 치배: 예 상쇠: 그러먼 일등명창 광대 다 불러다가 성주풀이도 허고 고사풀이도 허고. 성주로다 성주 본이 어디메뇨 경상도 안동땅 제비원으 솔씨를 받아 공동산에 던졌더니 그 솔이 점점 자라나서 소부됭5)이 되얐구나 대장목6)이 되얐구나 낮에로는 광선 쐬고 밤으로는 이실맞아 황장목7)이 되얐구나 에라 만수 에라 대신이야 그 재목을 내려허고 서른 세 명 역군들 옥도치를 들쳐메고 해평으 대평으 들어가서 소산에 올라서 소목 내고 대산에 올라서 대목 내아 원근 산천에 칡을 끊어 조그만헌 배를 무어8) 술렁술렁 떼배를9) 보세 에라 만수 에라 대신이야 1) 화동: 상쇠가 풍물패의 치배들을 부르는소리. 2) 피런허고: 폐일언(蔽一言)하고. 3) 배꼭지: 배꼽. 4) 먼 먼드러지게: 멋들어지게. 5) 소부됭: 소부등. 조그마한 둥근 나무. 6) 대장목: 장성한 큰 나무. 7) 황장목(黃腸木): 널을 만드는 데 쓰는 품질이 좋은 소나무. 8) 무어: 지어. 9) 떼배를: 띄워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