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고사풀이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세시의례요 > 풍물패의례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안군 마령면 계서리 서산의 고사풀이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고재봉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고재봉 |
지역개관 | 이 마을은 1141년경 강씨, 김씨, 신씨 등이 이곳에 정착하면서부터 마을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현재 총 35호 100여 명이 벼·담배·고추·삼베 길쌈 등이 주업이다. 비교적 전승 상태가 좋은 정초 마당밟이 풍물굿의 고사풀이를 하는 고재봉 할아버지가 생전에 살던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8일에 전라북도 마령면 계서리 서산에서 채집한 고사풀이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고재봉이 참여하였다. 고사풀이는 정초에 풍물패가 마당밟이를 할 때 집안에 들어가 그 집의 마루에 고삿상을 차려놓고 부른다. 고사에는 성주고사(城主告祀), 뱃고사, 명당고사(明堂告祀), 홍패고사(紅牌告祀), 백패고사(白牌告祀) 등 여러 가지가 있고 이에 따르는 고사풀이가 있다. 고사풀이는 내용상 치국(治國)잡기, 산세(山勢)풀이, 성주풀이, 과거풀이, 액풀이, 삼재풀이, 비단풀이, 호구역살풀이, 농사풀이 등으로 이루어진다. |
가사 | 고설 고설 고사로다
섬겨들이자 고사로다 이 터 명당 삼겨날 제 백두산 일지맥이 수천 리 나려와서 삼각산이 삼겨있고 대관령 흐르난 물이 수천 리 우행하야 한강수 되었어라 천년 산 만년 수 거록하다 우리 왕네 인왕산이 유산이요1) 관악산이 완대로다 질마재가 백호되고 왕십이2) 청룡이라 한갱이 조수3)되고 동격이4) 수구 막혀5) 천부금탕6) 되었으니 만호장안도7) 삼겨 있고 거기서 한 가지 뚜욱 떨어져 거들거리고 나려와서 전라도 지리산이 삼겨 있고 거기서 한 가지 뚜욱 떨어져 거들거리고 나려와서 진안군 마이산이 삼겨 있고 거기서 한 가지 뚝 떨어져 이 터 명당 삼겼으니 어찌 아니가 좋을쏘냐 섬겨들이자 고사로다 (그렇지) 이 터 명당 둘러보니 좌청룡 우백호요 남주작 북현무로구나 사램이 나면 문쟁이8) 나고 말을 기르면 용마가 되고 소를 기르면 억대가9) 되고 개를 기르믄 사지개10)되고 닭을 기르면 봉학이11) 될 것이니 어찌 아니가 좋을소냐 섬겨들이자 고사로다 (그렇지. 터는 잘 잡아놨네) 터는 이만큼 잡아놨거니와, 집을 지어야 헐 것 아니냐? (그렇지!) 집을 잠깐 한번 지어보는 것이었다 집을 잠꽌 짓는다 집을 잠꽌 짓는다 몸채는 칠 칸인디 사개12) 와사서13) 기와집 내외 중문은 소실문14) 전후좌우 연담 치고 능화15) 되비16) 장판 지천 부벽사를17) 붙여주고 안사랑이 팔 칸이요 바깥사랑이 팔 칸이요 마뱅이18) 칠 칸이요 외양간이 칠 칸이요 광채가 십오 칸 문칸채가 오 칸이요 근네 뱅이 삼 칸이요 장광이 칸 반이라 이리 짓고 저리 짓고 입 구 자 집을 지어노니 합해서 시어보니 예순한 칸 반이로구나 어찌 아니가 좋을소냐 섬겨들이자 고사로다 집은 이만큼 지어 놓았거니와 세간살이가 있어야 할 것 아닌가 세간살이는 무엇보담도 정제19) 세간살이가 첫째던 것이었다 정제 세간살이부텀 장만히 보는 것이었다 정제 세간이 나온다 정제 세간이 나온다 정제 세간이 나올 제 대솥 중솥 소솥 가매솥 소도솥20) 새운21)냄비 무쇠뚜껑으 은동우 놋동우 세 발 가진 장개미22) 아래쇠 받쳐 곁들이고 함박 박아지 조리 주벅23) 물당애24) 불가래 당그래 수세미를 곁들여 노니 정제 세간이 넉넉허게 되었구나 정제 세간살이는 이만하면 훌륭하려니와 정제 세간 살이만 장만해 놓고 방안에 아무것도 없어 될 수가 있는가? 방안 등물25)을 장만해보는 것이었다 방안 등물이 나온다 방안 등물이 나온다 방안 등물이 나올 제 맹경26) 체경 경대 탁자 의걸이27) 들령영28) 자개함농으 퇴침 안석29) 보육30) 사방으 침일산31) 이층장 삼층장 평양장32) 화초장 머리장33) 반닫이 이리저리 늘여 놓고 낙고지 별백지 구지 명지 장지 전양지 피닥지34) 앞뒤 선반에 얹어 두고 마린신 진신35) 궁혜 응혜36) 반결음37) 구슬은 어간자청으38) 늘여놓고 팔모깎이 우산대39) 은소복으40) 연변대41) 주석대42) 백통대43) 파른 받침44) 구리 동고리대45) 소상간죽으46) 별간죽47) 금사오죽에48) 양철간죽을49) 마치 맞게 잘 맞촤 네 구석으 세워두니 방안치레가 훌륭하네 방안에 이층장 삼층장만 늘여놓고 이층장 삼층장 속으 아무것도 없이 텡텡 비어서 될 수가 있는가? (그렇지!) 왼갖 패물을 불러다 이층장 삼층장 속으다 다북다북 채와 두는 것이었다 왼갖 패물이 나온다 왼갖 패물이 나온다 왼갖 패물이 나올 제 금지환 은지환 옥지환 밀화반지를 곁들이고 금비네 옥비네 밀화죽절을 곁들이고 은환잠 국화잠 앵도잠 도야머리 금난잠 주리반흔 야따루 자개함농으 채와두고 삼승포50) 오승포51) 고릉 종산에 고흔 베 길주 명천에 가는 베 가는 모시 굵은 모시 한산 세모시 생저52) 마포 광포 화포 광대포 도리마53) 도리사54) (허허 참, 골고루 나오네) 이만헌 댁에서야 물론야 남녀 노비도 많이 있을 것 아니가디 남녀 노비 다 한 벌썩 히주고 나먼 외나 이댁 서방님과 이댁 마나님이 입을 옷갬이 읎슬것 아닌가? 이댁 서방님과 이댁 마나님 입을 옷감을 불러오는디 저 서울가서 썩 좋은 비단이로만 찰찰 골라서 한번 불러오는 것이었다 왼갖 비단이 나온다 왼갖 비단이 나온다 왼갖 비단이 나올 제 화간부상으55) 삼백첩57) 번듯 떴다 일광단58) 대사비경으 입상골59) 황홀하다 월광단60) 세왕무 요지연으61) 진상하던 천도문62) 천하신지 산천초목 같이 그린 지도문63) 이백이 기개 비상천64) 강남 풍월이 한단65) 적설이 만건곤하니 경개 좋은 상사단66) 주단67) 하단68) 노픔이69) 번듯 떴다 장지문70) 초당전 화개상71) 머루 다래 포도문72) 강구노인 격앙가 배부르다 한포단73) 광정하다 저 사람이 나를 바리고 가게주74) 두 팔묵 담쑥 잡고 만단 형용이 상사단 쓰기 좋은 양태문75) 인정있는 인조사76) 부귀공명으 오복수77) 잠생 구석 궁초단78) 서부렁 섭쩍 세발문79) 문거 문거 응모단80) 거드렁 꾸뻑 막새장단81) 목항라82) 주항라83)가 꾸역꾸역 들여를 온다 1) 유산 -> 주산(主山) 2) 왕십이: 왕십리가. 3) 조수(祖水)(?). 4) 동격이: 동작(東雀)동이. 5) 수구(水口) 막혀 → 수구막이. 수구는 풍수에서 말하는 득(得)이 흘러간 곳. 6) 천부금탕: 하늘이 내리신 좋은 명당(?). 7) 만호장안(萬戶長安). 8) 문쟁: 문장(文章), 문장가. 9) 억대: 약대, 낙타. 10) 사지개: 싸리개. 삽살개 11) 봉학(鳳鶴). 12) 사개: 기둥머리를 도리나 장여를 박기 위하여 네 갈래로 오리어 낸 부분. 13) 와사서: 와서(瓦署)에서 만든(?). 와서는 기와와 벽돌을 만들던 관아 14) 소실문: 솟을문. 15) 능화: 능화문(菱花紋). 마름모 무늬. 16) 되비: 도배. 17) 부벽사: 부벽사, 비단의 일종(?). 18) 마뱅: 마방(馬房). 19) 정제: 정지, 부엌. 20) 소도솥: ? 21) 새운: 새옹. 놋쇠로 만든 작은 솥. 배가 부르지 아니하고 바닥이 평평하며 솟전과 뚜껑이 있음. 22) 장개미: 쟁개비. 무쇠나 양은으로 만든 작은 남비. 23) 주벅: 밥주걱. 24) 물당애: 물동이. 25) 등물(等物): 여러 가지 물건. 26) 매경: 명경(明鏡). 27) 의걸이: 의걸이장. 위는 웃옷을 걸어 두고 아래는 미닫이 모양으로 옷을 개여 넣게 된 장. 28) 들령영: ? 29) 안석(案席): 앉을 때에 몸을 기대는 방석. 30) 보육: ? 31) 침일산(寢日傘): 잠잘 때 사용하는 양산(?). 32) 평양장: 평양반닫이(?). 평양반닫이는 평양에서 나는 반닫이로 대체로 크며 큼직한 쇠장식을 대는 것이 특징임. 33) 머리장: 머리맡에 두는 장. 34) 낙고지 ∼ 피닥지: 모두 종이 이름. 35) 마린신 진신: 마른 신과 진 신. 마른신은 가죽신. 진신은 들기름에 결어 진 땅에 신는 가죽신. 36) 궁혜 응혜: 비단 신발의 종류. 37) 반결음: 반쯤만 결은 가죽신. 여자와 아이들이 신음. 38) 어간자청으: 어간대청에. 방과 방 사이에 있는 대청에. 39) 우산대: 담뱃대의 일종. 40) 은소복으: 은소복의(銀素服-), 은으로 하얗게 도장을 한(?). 41) 연변대: 담배 설대, 혹은 담뱃대의 일종(?). 42) 주석대: 대통과 물부리를 주석(朱錫))으로 만든 담뱃대. 43) 백통대: 대통과 물부리를 백통(白銅)으로 만든 담뱃대. 44) 파른받침: 파란을 받친. 파란은 법랑(琺瑯). 45) 구리 동고리대: 대통과 물부리를 구리로 만든 담뱃대. 46) 소상간죽: 소상반죽(瀟湘斑竹). 중국 소상지방에서 생산되는 아롱진 무늬가 있는 대나무. 47) 별간죽(別簡竹): 특별히 잘 만든 담배 설대. 간죽(簡竹)은 담배 설대를 말함. 48) 금사오죽(金絲烏竹): 반죽(斑竹)의 하나, 줄기가 가늘고 마디가 불거졌으며 작은 점이 박히었음. 49) 양철간죽(洋鐵簡竹): 양철을 사용해 만든 담배 설대. 50) 삼승포(三升布): 석 새 삼베. 51) 오승포(五升布): 다섯 새의 베나 무명. 품질이 중쯤 됨. 52) 생저: 모시의 일종 53) 도리마(麻): 중국에서 나는 베의 한 가지. 여름 옷감으로 씀. 54) 도리사(紗): 중국산의 베의 한 가지. 도루마보다 승새가 고움. 55) 외나: 오히려. 56) 화간부상으: 화간부상(花間浮上)의. 57) 삼백첩: 비단의 일종. 58) 일광단(日光緞): 비단의 일종. 59) 입상골: 비단의 일종. 60) 월광단(月光緞). 61) 세왕모 요지연으: 서왕모 요지연의(西王母 瑤池淵-). 서왕모는 중국 상대(上代)에 받들었던 선녀의 하나. 요지연은 중국 곤륜산에 있다는 못. 주(周)나라 목왕(木王)이 서왕모를 만났다는 곳. 62) 천도문(天桃紋): 비단의 일종. 63) 지도문(地圖紋): 비단의 일종. 64) 이백이 기개 비상천: 이백기개비상천(李白氣槪飛翔天)(?). 65) 한단(漢緞): 중국에서 나는 비단의 한 가지. 대단(大緞). 66) 상사단(想思緞)(?). 67) 주단(綢緞): 품질이 썩 좋은 비단. 68) 하단: 비단의 일종. 69) 노픔이: 비단의 일종. 70) 장지문: 비단의 일종. 71) 초당전 화개상: ? 72) 포도문(葡萄紋). 73) 한포단: 비단의 일종. 74) 가게주: 비단의 일종. 75) 양태문: 무늬비단의 일종. 76) 인조사(人造紗). 77) 오복수: 오복수(五福繡)를 수 놓은 비단. 78) 궁초단: 궁초무늬를 놓은 비단. 79) 세발문: 비단의 일종(?). 80) 응모단: ? 81) 막새장단(粧緞): 막새 모양을 장식한 비단(?). 82) 목항라(木亢羅): 무명으로 된 항라. 항라는 구멍이 송송 뚫어지게 짠 여름 옷감. 83) 주항라(紬亢羅): 명주로 짠 항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