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장수군 산서면 동화리 봉정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일룡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일룡 |
지역개관 | 행정구역 상으로는 장수군이지만, 문화권역으로는 임실권에 더 가까운 지역들. 마하리 원흥마을은 동화리 시장마을에서 장수 쪽 산밑으로 약 3km 정도 더 들어가서 있는 마을로, 30여 호에 100여 명의 주민이 벼농사를 주요 생업으로 하여 살고 있다. 봉정마을은 20여 호 80여 명의 주민이 벼농사를 주생업으로 하며 살고, 일부는 장사를 하는 집들도 있다. 각성바지들이 모여 살고, 동화리 시장마을과 인접해 있다. 동화리 시장마을은 100여 호에 780여 명의 인구가 주로 벼농사와 과수농사를 하며 살고 있고, 음력 삼월 삼짓날에 마을 당제를 지낸다. 성씨는 대체로 각성바지다. 이곳에 5일장이 서며 장날은 2일과 7일이다. 더 큰 장을 보려면 오수나 남원으로 간다. 마을에 큰 경노당이 있어 농한기에는 인근 마을 할아버지들이 많이 모인다. 이 시장마을 경노당에서 모심는소리, 밭매는소리, 논매는소리, 상여소리 등, 15곡 정도의 민요를 채록하였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22일에 전라북도 장수군 산서면 동화리 봉정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일룡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발인소리는 상여를 메고 집을 떠나기 전까지 하는소리고, 운상소리는 장지로 가면서 하는 소리다. |
가사 | <발인소리>
오 헤허히잇 나암호오 에 헤에에헤 으잇 나암호오 병풍에 기린 장닭 날 새라고 꾀꾜 울면 오실라요 헤에이 헤에이 헤읏 나암호오 금강산 물이 다 잦아지고 자갈만 처지면 오실라요 헤에이 헤에이 헤읏 나암호오 <운상소리> 어하 어하 어허허하 어이가자 어하 어하 어하 허허허하 어이가리 어하 웬 일인가 웬 일이여 명전 공포가1) 웬 일인가 어하 어하 어하 허허허하 어이가리 어하 못 가겄네 못 가겄네 우리 자녀손 못 잊어서 나 못 가겄네 어하 어하 어하 허허허하 어이가리 어하 떴다 보아라 종달이 새는 천장도 만장도 구만질 떴구나 어하 어하 어하 허허허하 어이가리 어하 내가 인제 망종2)가면은 어떤 친구가 날 찾아 오끄나3) 어하 어하 어하 허허허하 어이가리 어하 날 오라네 날 오라네 저승왕이 날 오란구나 어하 어하 어하 허허허하 어이가리 어하 오래길랑 오랬으면 대명당을4) 일러를 주소 어하 어하 어하 허허허하 어이가리 어하 심심산천 짚은 곳에 누구를 보랴고 내 여기 왔는가 어하 어하 어하 허허허하 어이가리 어하 못 가겄네 못 가겄네 노자가 없어서 나 못 가겄네 어하 어하 어하 허허허하 어이가리 어하 서른 세 명 유대군들아 소리를 맞촤서 잘도나 허소 어하 어하 어하 허허허하 어이가리 어하 먼 데 양반들 듣기도 좋고 젙에 양반들 뵈기도 좋게 어리가자 어하 어하 어하 허허허하 어이가리 어하 옳제 그렇제 그만만 허며는 다 잘 헌구나 어하 어하 어하 허허허하 어이가리 어하 최경5)이요 쉬어 갑시다. 1) 명전 공포: 명정(銘旌) 공포(功布). 2) 망종(亡終): 마지막 3) 오끄나: 올거나. 올까. 4) 대명당(大明堂). 5) 최경: 초경(初更). 장례식 전날 유대군들이 밤을 새우며 초경부터 오경까지 상여소리를 하는 풍습의 흔적이 표현된 듯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