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17집 송천 김선풍박사 정년기념호(松泉 金善豊博士 停年記念號) 학회지, 논문집 |
자료명(한문) | 韓國民謠學 第17輯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17집 학술지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20051228 |
생산자(처) | 한국민요학회 |
생산지역 | 국내 > 서울특별시 > 마포구 |
생산지역 상세 | 대흥동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17집 학술지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17집 송천 김선풍박사 정년기념호(松泉 金善豊博士 停年記念號) 학회지 , 논문집 , 韓國民謠學 第17輯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2005년 12월 28일 한국민요학회에서 발간한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17집(第17輯)이다. 본 책은 총 375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松泉 金善豊博士 停年記念號(송천 김선풍박사 정년기념호)로 발간되었다.
논문 강혜인, 전래동요 '놀리는 노래'의 음악 분석 연구 권오경, 동해안 지역 어로요의 존재양상과 특성 김인숙, 서해안 노젓는소리의 가창방식과 악곡구조 연구 김혜정, 초등 국악교육을 위한 유희요의 음악적 특성과 분포 연구 손인애, 토속민요 배꽃타령계통 소리 연구 이창식, 인제지역 뗏목민요의 원형과 활용 장유정, 20세기 전반기 한국 가요와 문화콘텐츠:유성기 음반의 DB화 작업을 통한 문화 원형 개발을 중심으로 정은경, 민요와 전래동요를 중심으로 한 아동들의 국악 감상수업 설계:상상력 이론에 기초하여 최헌, 강은경, 조태원 외1명, 부산ㆍ경남 지방 전통민요 조사 연구 -기존학술연구 및 문화적 배경 연구를 중심으로 홍순일, ≪도서지역 민요≫와 문화관광 -<신안민요>ㆍ<완도민요>ㆍ<진도민요>를 중심으로 휘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