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장수군 계북면 어전리 문성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장은, 한병익, 박복남, 손문익, 김맹성, 이귀종, 박재호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장은, 한병익, 박복남, 손문익, 김맹성, 이귀종, 박재호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장수군 계북면 어전리 문성은 무주군과 인접한 면으로 어전리는 면소재지가 있는 곳. 문성마을은 무주로 가는 국도 변에 위치해 있으며, 총 64호 240여 명의 인구가 벼, 채소 등을 주생업으로 하여 살고 있다. 장은 주로 가까운 무주군 안성면 안성장이나 장수군 계내면 장계리 장계장으로 보러 간다. 이 마을에서는 모찌는소리, 모심는소리, 질꼬내기, 논매는소리(세모꼭지), 상여소리 등, 약 10여 곡의 노래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28일에 전라북도 장수군 계북면 어전리 문성에서 채집한 한다리 천다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후남이 참여하였다. 전북 동부 산간지역의 모심는소리이다. 가사만 다르고, 곡조와 가창방식이나 창법은 이 지역 밭매는소리와 같다. |
가사 | 이 논에다 모를 심어 장잎이 훨훨 영화로다
우리 부모 산소나 앞에 솔을 길러서 영화로구나 방실방실 웃는 임은 못 다 보고 해 다 지네 오늘 날로만 못 다나 보면 새는 날로만 다시나 보세 제와가네1) 제워나 가네 담배 참수가2) 늦어가네 얼른 잠꽌 숨과나 놓고 우는 애기를 젖을 주세 저 산 너메 소첩을 두고 밤질을 걷기 난감하네 낮에 가면 놀러를 가고 밤에 가면은 잠자로 가네 머리 길고 어여쁜 처녀 울뽕3) 낭기에 앉아서 우네 울뽕 줄뽕을 내 따만 줌세 요내야 품안에 잠자만 주소 잠들기는 어렵지 않아도 울뽕 따기가 늦어나 가네 알곰 삼삼 고분마4) 님을 못 다야 보고도 해 다만 지네 오늘 해로 못 다나 보면 새는 날로나 다시나 보세 순창 댐영5) 세대삿갓6) 절기잘기 접어다 씨고 삿갓 밑에 드는 바람 장부 간장 다 뇍이네 저기 가는 저 마누래 속곳 가래 걷고나 가네 걷고 가거나 놓고 가거나 당신에게 무신 상관 상관이야 없지마는 이내 맘이 싱숭생숭 이 호호..! 1) 제워가네: 겨워가네. 시간이 흐르네. 2) 담배 참수가: 담배참 때가. 3) 울뽕: 울타리의 뽕나무. 4) 고분마: 고운. 마는 강조. 5) 댐영: 담양. 6) 세대 삿갓: 가는 대로 만든 삿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