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산이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무주군 부남면 가당리 하평의 자진아라리-산이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주함봉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주함봉 |
지역개관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가당리 하평에는 총 53호 167명의 주민이 벼, 인삼, 고추 재배를 주 생업으로 해 살고 있고, 김녕 김씨가 30여 호를 차지한다. 군의 북서부에 위치한 마을로, 충남 금산군으로 통하는 길가에 있고, 실제로 충남 금산군과 인접해 있다.이 마을에서는 모찌는소리, 모심는소리, 밭매는소리, 아리랑 등, 총 17곡 정도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16일에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가당리 하평에서 채집한 산이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주함봉이 참여하였다. 흔히 “강원도 아리랑”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백두대간 허리를 따라 강원·영남·충청지방으로 이어져 내려오며 불려지는 아리랑의 하나로 아라리(정선아리랑)와 구별하여 보통 자진아라리로 명칭을 붙인다. 이 지역에서는 “아리랑” 후렴이 붙지 않고, 기능상 노동요와 신세타령으로 많이 부른다(디딜방아소리, 영감아 땡감아, 깔베는 총각 등). 간혹 부르는 후렴구 중에 아라린가 지랄인가 영천(용천)인가라는 구절을 두고 영천지방의 아리랑으로 해석하는 수도 있으나 근거가 전혀 없다. 북한이 가무단 공연곡목으로 자주 올리는 “영천아리랑”도 마찬가지다. 실은 영천이 아니라 용천이며, 이는 용천맞다, 지랄 용천하네 등의 표현으로 쓰이는 비속어이다. 가창자는 이 노래의 제목을 산이노래라고 했다. |
가사 | 날 가라네 날 가라네 날 가라네
삼베 질쌈 못 한다고 날 가라네 오동나무 열마는 감실감실 큰애기 젖툉이는 몽실몽실 영 글렀네 영 글렀네 영 글렀네 가매 타고 시집가기 영 글렀네 늘어졌네 청처졌네1) 쇠불알 낭자2) 누 간장을 솔라고3) 저 모냥이냐 날 버려라 날 버려라 날 버려라 이십 안쪽에 날 버려 주게 산천이 고와서 나 여기 왔어 임 살던 골이라고 나 여기 왔네 아리아롱 아리아롱 아라리 났네 아라린가 지랄인가 용천4)인가 월매나 좋아서 요모냥이 됐어 아리롱 고개는 열두나 고개 아리롱 고개는 한 고개네 다래야 머루야 열지를 마라 산꼴짝 큰애기 몸깨단다5) 열라는 콩팥은 아니나 열고 열지 마란 아주까리 조자리쳤네6) 아리아롱 아리아롱 아라리요 아리아리 고개로 놀로나 가세 1) 청처졌네: 축 처졌네. 축 늘어졌네(?). 2) 쇠불알 낭자: 축 늘어진 낭자머리. 3) 누 간장을 솔라고: 누구 간장을 녹이려고. 4) 용천; 용천하다는 매우 좋지 않다는 뜻. 5) 몸깨단다: 몸이 단다. 6) 조자리쳤네: 다닥다닥 매달려 있는 모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