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무주군 무풍면 지성리 율오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순이, 박해경, 정진상, 김걸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순이, 박해경, 정진상, 김걸 |
지역개관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지성리 율오는 행정구역 상으로는 전북지역이지만, 문화적으로는 거의 완전히 경북지역, 즉 경북 금릉군과 같은 문화권에 속하는 마을로 말씨도 거의 경상도에 가깝다. 백제와 신라를 잇는 이른바 나제통문(羅濟通門) 너머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 총 22호 88명의 각성바지 주민이 벼·잎담배·약초(청궁·당귀·작약 등)를 재배하며 살고 있다. 이 마을에서는 모찌는소리, 모심는소리, 밭매는소리, 논매는소리, 상여소리, 아이 어르는소리 등, 약 40여 곡의 노래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29일에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지성리 율오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순이, 박해경, 정진상, 김걸이 참여하였다. 메나리조 교환창으로 부르는 전형적인 동부 산간지역의 모심는 노래이다. 진안, 장수군 보다도 무주군의 모심는소리가 좀 더 영남지방에 가깝다. |
가사 | 가: 요 논에다 모를 심어 장잎 나서 영화로다
나: 어린 동생 곱게 길러 갓을 씌워 영화로다 가: 모야 모야 노랑 모야 원제 커서 영화를 볼래 나: 오월 크고 유월 크고 칠팔월에 영화로다 가: 머리 좋고 키 큰 처녀 울뽕낭게1) 걸어 있네2) 나: 울뽕 줄뽕 내 따 주께 요내 말씀 들어주게 가: 서 마지기 논배미가 반달만치 남았네 나: 니가 무슨 반달이냐 초승달이 반달이지 가: 처남 처남 우리 처남 느그 누야 멋 하더노 나: 양단이불 원앙금3) 잣비게를4) 분베사창5) 골방 안에 피어 놓고 임 오기를 고대하네 가: 물꼬 철철 물 실어 놓고 이 집 주인 어디 갔네 나: 문어 전복 손에 들고 첩으 방에 놀러 갔네 가: 낮으로난 놀로 가고 밤으로난 자로 가네 나: 오늘 해가 다 됐는가 골골마동 연기 나네 가: 우련 님은 어디 가고 저녁 할 줄 왜 모르나 나: 저녁이사 하지마는 임이 없어 수심이요 가: 배가 고파 지은 밥은 돌도 많고 뉘도 많네 1) 울뽕낭게: 울타리 뽕나무에. 2) 걸어 있네: 걸터앉아 있네. 3) 원앙금: 원앙을 수 놓은 이불. 부부가 같이 덮는 이불. 4) 잣비게: 베개 마구리에 잣(마름모) 모양의 꾸미개를 붙여 만든 베개. 부부가 둘이 베는 베개. 5) 분베사창: 분벽사창(粉壁紗窓). 하얀 벽과 깁창. 아름다운 여인의 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