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밭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밭매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무주군 무풍면 지성리 율오의 밭매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순이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순이 |
지역개관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지성리 율오는 행정구역 상으로는 전북지역이지만, 문화적으로는 거의 완전히 경북지역, 즉 경북 금릉군과 같은 문화권에 속하는 마을로 말씨도 거의 경상도에 가깝다. 백제와 신라를 잇는 이른바 나제통문(羅濟通門) 너머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 총 22호 88명의 각성바지 주민이 벼·잎담배·약초(청궁·당귀·작약 등)를 재배하며 살고 있다. 이 마을에서는 모찌는소리, 모심는소리, 밭매는소리, 논매는소리, 상여소리, 아이 어르는소리 등, 약 40여 곡의 노래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29일에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지성리 율오에서 채집한 밭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순이가 참여하였다. 진안군, 장수군 밭매는소리 해설 참조. |
가사 | 요내 밭골 월릉 매고 임으 밭골 질러 매세
질람질람1) 매 나가는 뜾은 군 뜻2) 먹고 매 나가네 살랑살랑 부는 바람 우련 님오 황손3) 바람 제가 무신 황손인가 하늘님네 도술이제 서울이라 유다락에4) 금삐둘기 알을 낳네 만져보고 쥐어보고 못 가져온 기 한이로세 서울이라 낭기 없어 금봉채로5) 다리 놨네 그 다리를 건네갈 때 쿵쿵절싸 소리가 나네 다풀다풀 다박머리 해 다 젼데 울고 가네 우리 엄마 산소 앞에 젖 먹으러 나는 가오 1) 질람질람: 질러 질러. 2) 군 뜻: 군생각. 다른 마음. 3) 황손: 한삼(汗衫). 두루마기 소매에 길게 덧댄 소매. 시원한 바람을 흔히 낭군님의 한삼바람이라 표현한다. 4) 유다락에: 누(樓)다락에. 5) 금봉채(金鳳釵): 봉황을 새긴 금비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