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목도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통나무벌목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무주군 무풍면 지성리 율오의 목도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진상, 박해경, 김걸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정진상, 박해경, 김걸 |
지역개관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지성리 율오는 행정구역 상으로는 전북지역이지만, 문화적으로는 거의 완전히 경북지역, 즉 경북 금릉군과 같은 문화권에 속하는 마을로 말씨도 거의 경상도에 가깝다. 백제와 신라를 잇는 이른바 나제통문(羅濟通門) 너머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 총 22호 88명의 각성바지 주민이 벼·잎담배·약초(청궁·당귀·작약 등)를 재배하며 살고 있다. 이 마을에서는 모찌는소리, 모심는소리, 밭매는소리, 논매는소리, 상여소리, 아이 어르는소리 등, 약 40여 곡의 노래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29일에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지성리 율오에서 채집한 목도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진상, 박해경, 김걸이 참여하였다. 목도질로 짐을 운반하면서 하는소리이다. 목도질은 통나무 목도와 상석(床石) 목도가 대표적인데, 통나무 목도의 경우 일제 때부터 토목공사가 늘어나면서 자주 불리워졌다. 정진상씨에 의하면 30대에 경상북도 감포에서 목도꾼한테 배웠다 하며, “그거 골병드는소리여”라고 목도질의 고됨을 설명하였다. 맨 앞에 목도를 메기 전에 소리 한마디를 했는데, 이것은 원래 목도꾼들이 즐기던 곱새치기라는 놀이를 하면서 부르던 노래 한구절이다. |
가사 | 일 자도 모르는 건 판판 무식이라
촌놈에 딸이면 쌍놈에 딸이라 청춘에 늙노나 차정!1) 으여차 디여차 으여차 디여차 한 발재죽 으여차 까딱거리먼 으여차 다 죽는다 으여차 어그여차 으여차 으여차 으여차 옆 발재죽 헤여차 다 맞촤라 헤여차 한 발재죽 으여차 잘 하며는 으여차 자알 한다 으여차 어허허하 으여차 어허허 으여차 다 와가네 이여차 뒤에 양반 으여차 밀어주고 이여차 옆에 양반 이여차 땡겨주고 으여차 어허허 으여차 으야하 으기여차 아하하 이여차 아하하 으여차 다 와간다 이여차 아하하 어여차 한 발자죽 으여차 까딱거리면 이여차 다 죽는다 이여차 밥숟가락 사요나라다 이여차 두 발재죽 으여차 건네가면 으여차 다 와가고 이여차 옆으로 으여차 돌아가라 으여차 헤여차 으여차 외나무다리 으여차 잘 건넨다 이여차 아아하하 이야차 아아하하 이여차 놓고 놓고 1) 차정-!: 목도를 들어올리는 신호. 가창자들에 의하면 이 신호를 “남선(南鮮)에서는 차정, 북선(北鮮)에서는 하정으로 시작한다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