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친정곳에 부고로세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시집살이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무주군 무풍면 지성리 율오의 친정곳에 부고로세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01129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북도 > 무주군 |
생산지역 상세 | 무풍면 지성리 율오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2 , 친정곳에부고로세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시집살이한탄 , 전라북도 , 전북 , 무주군 , 1990 , 1995 , 친정곳에 부고로세 , 박해경 , 독창 , |
실연자 | 박해경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해경 |
지역개관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지성리 율오는 행정구역 상으로는 전북지역이지만, 문화적으로는 거의 완전히 경북지역, 즉 경북 금릉군과 같은 문화권에 속하는 마을로 말씨도 거의 경상도에 가깝다. 백제와 신라를 잇는 이른바 나제통문(羅濟通門) 너머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 총 22호 88명의 각성바지 주민이 벼·잎담배·약초(청궁·당귀·작약 등)를 재배하며 살고 있다. 이 마을에서는 모찌는소리, 모심는소리, 밭매는소리, 논매는소리, 상여소리, 아이 어르는소리 등, 약 40여 곡의 노래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29일에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지성리 율오에서 채집한 친정곳에 부고로세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해경이 참여하였다. 친정아버지가 죽어 부고가 오는 것으로 시작하는 대표적인 시집살이노래이다. |
가사 | 춘아 춘아 옥단춘아
버들 밑에 새단춘아 왔소 왔소 편지 왔소 한 손으로 받아 들고 두 손으로 피어 보니 아차 깜짝 친정 곳에 부고로세 나는 가요 나는 가요 부모님께 나는 가요 한 모롱이 넘어 가니 까막 까치 진동하고 두 모롱이 썩 돌아서니 여우새끼 진동하고 세 모롱이 넘나드니 노루새끼 진동하고 네 모롱이 넘어서니 상도꾼들 진동하네 저기 가는 저 상도꾼들 행여나 쪼꼼 놓아주소 행여 갈 길 바쁜 질에 친정집에 빨리 가소 다섯 모롱이 돌아서니 친정집에 당도했네 오빠 오빠 우리 오빠 대문 쪼끔 열어주소 에라 이년 몹쓸 년아 부모님 얼굴을 볼랴거든 어제 아레1) 올 것이지 셍이 셍이 올케 셍이2) 대문 쪼꼼 열어 주소 에라 이 사람 몹쓸 사람 부모님 얼굴을 볼랴거든 어제 아래 올 것이지 에라 썩 물러서라 1) 아레: 그저께. 2) 올케 셍이: 올케 형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