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성주굿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세시의례요 > 풍물패의례 > 지신밟기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삼공의 지신밟기소리-성주굿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귀선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귀선 |
지역개관 | 이 마을은 원래 구천동이라고 불렸으나, 무주 구천동이 관광지로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새로 나누어진 마을 이름이 삼공마을이 되었다 한다. 깊은 구천동 계곡에 위치한 이 마을은 무주읍에서 설천면 소재지를 거쳐 들어가고, 덕유산 준령을 넘어 경남 거창군과 통하는 길도 있다. 총 230호 600여 명의 각성바지 주민들이 벼·고랭지 채소·약초의 재배 및 관광업을 하면서 살고 있다. 이 마을에서는 모찌는소리, 모심는소리, 논매는소리, 상여소리, 성주풀이 등, 14곡 정도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30일에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삼공에서 채집한 성주굿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귀선이 참여하였다. 풍물패가 정초에 집집을 돌며 해주는 풍물굿. 기본적으로 영남지방 지신밟기와 같은 식의 성주풀이지만, 앞뒤로 상쇠와 치배가 주고받는 대화가 붙어있는 점이 영남지방과 다르다. |
가사 | (풍물)
벅구야! 어이 다름이 아니고! 어이 지신 어이 성주굿을 헌단 말이지! 어이 성주 본1)이 어데 메냐 (풍물연주) 경상도 안동땅 제비원2)이 본일레라 제비원에다 솔씨를 받아 소평 대평3)에 던졌더니 그 솔이 점점 자라나 소부됨이 되었구나 대부됨이 되었구나 황장뫽이 되었네 청장뫽이 되었네 도리 지둥이 되었네 그 재목을 날라고4) 앞집에라 김대목 뒷집에라 박대목 은도치 금도치 갈아 쪄고 영평장평을 들어가서 소산에 올라 소목 내고 대산에 올라 대목 내고 원금산에 칡을 끊어 서룬 세 명을 역꾼을 세와 양구 양천 흐르는 물에 어리화 둥실 띄웠네 요 물에 요 사공들 저 물에 저 사공들 물때가 점점 늦어간다 굽은 나무는 등을 쳐고 곧은 나무는 배를 쳐고 호박 지추5) 도리 지둥 상량에 쇠를 걸어 네 귀에 핑경6) 달고 동남풍이 내리 불면 핑경소리는 요란하고 어라 만수 저라 대신이야 우리가 이적때이7) 진8) 집은 말이지. 어이. 박생원들에 이 집이란 말이지. 어이. 그렇지! 이 집 짓고 아들애기를 놓거들랑은 효자를 놓고. 어이. 그렇지! 딸애기를 놓거들랑은 열녀를 납소서. 어이. 잡구잡신을랑 어이. 물로 깨끗하니 씻었으니 물알로 훨훨 도망가고 어이. 그렇지! 금지고 은지고 하는 양반은 내알부터 삽작이 빗장으로9) 뀌역뀌역 들어오기를 점지합니다. 이 집에 박생원댁에서 원래 복은 말이지 어이. 석숭10)이의 복을 탔고 어이. 그렇지! 명은 삼천갑자 동방삭이의 명을 탔습니다. 어이 그렇지. 일 년 삼백육십오 일 가드락 고뿔 한 점 없이 말이지 어이. 그렇지. 만수무강하기를 바랍니다. 한 잔 먹자! 어이! 1) 성주본: 성주의 근본, 발원지. 2) 제비원: 경상북도 안동군에 있는 지명. 큰 석불이 서 있고 민속신앙에서 이곳을 매우 중시함. 3) 소평(小坪) 대평(大坪): 큰 들 작은 들. 4) 날라고: 베어내려고. 5) 호박 지추: 호박돌로 주춧돌 자리를 다져 6) 핑경: 풍경(風磬). 7) 이적때이: 이적까지, 이때까지. 8) 진: 지은. 9) 내일부터 사립문의 문빗장으로. 10) 석숭(石崇): 중국 진나라 때 항해와 무역으로 엄청나게 많은 돈을 벌어 부귀영화가 비길 데 없었다는 대부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