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무주군 안성면 덕산리 덕곡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희환, 최재구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희환, 최재구 |
지역개관 | 이 마을은 황곡산(黃谷山) 그늘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황곡음(黃谷陰)이라고 불렀는데, 현재는 덕곡(德谷)이라 하고, 총 43호 186명의 주민이 벼, 고랭지채소를 주 생업으로 해 살고 있으며, 경주 이씨가 많이 산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2월 1일에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덕산리 덕곡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희환, 최재구가 참여하였다. 메나리조 교환창 형식의 전형적인 모심는소리이다. 이 마을은 여자들이 모를 안 심었기 때문에 남자들만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농창 농창 베루1) 끝에 시누 올키 빠졌다네
나도나 죽어 후승2) 가서 우련 님을 셈길라네 머리 좋고 키 큰 처녀 울뽕 남기서 앉아서 우네 울뽕 줄뽕 내 따나줌세 요내 품에 잠자 주소 차도나 영산 참샘이 물에 배차 씻는 저 처녀야 겉에여 젙잎 다 젖혀놓고 속에 속잎 나를 주게 뽕 따러 가세 뽕 따러 가세 뒷동산에로 뽕 따러 가세 뽕도나 따고 임도나 보고 겸도 겸해 뽕 따러 가세 서울이라 남기 없어 고사리로 대궐을 짔네 아래 웃집 처녀들아 대궐 짓는 구경가세 서울이라 남기 없어 원추리로 대문을 다네 아래웃집 처녀들아 대문 다는 구경가세 서울 가신 선비님네 우리야 선비 안 오시던가 오기야 오기는 오시더래도 칠성판에 실려 오네 모시적삼 안섶 안에 분결 같은 젖 좀 보게 만지나 보면 병 날기고 빛만 살짝 보고나 가게 방실방실 웃는 임을 못 다 보고 해 넘어가네 오늘날로 못 다 보면 내일날로 다시나 보세 1) 베루: 벼랑. 2) 후승: 후생(後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