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첩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무주군 안성면 덕산리 덕곡의 첩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언년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언년 |
지역개관 | 이 마을은 황곡산(黃谷山) 그늘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황곡음(黃谷陰)이라고 불렀는데, 현재는 덕곡(德谷)이라 하고, 총 43호 186명의 주민이 벼, 고랭지채소를 주 생업으로 해 살고 있으며, 경주 이씨가 많이 산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2월 1일에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덕산리 덕곡에서 채집한 첩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언년이 참여하였다. 날이 더워 첩을 팔아 부채를 산다는 말에서 첩의 보잘 것 없는 위상을 알 수 있다. |
가사 | 남방 유월이 둘이라서1)
첩을 팔아 부채 샀네 첩을 팔아 부채 사고 보니 구시월이 닥치 오니 첩의 생객이 절로 나요 1) 유월이 둘이라서: (윤달이 끼어?) 더운 유월이 둘이라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