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덤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분묘조성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무주군 부남면 대소리 유평의 무덤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홍제균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홍제균 |
지역개관 | 부남면은 충남 금산군과 전북 진안군에 인접한 곳으로, 이 마을은 진안군과 인접해 있으며 금강 상류를 끼고 있다. 총 50여 호 200여 명의 주민이 벼·인삼·고추 농사로 생활하며, 진안군 안천면으로 통하는 길, 무주군 적상면으로 통하는 길, 그리고 충남 금산으로 통하는 길이 있다. 장은 주로 충남 금산 장을 보며, 금산까지는 40리 정도의 거리이다. 일제 때는 충남 금산군에 속했다 하며, 주생활권은 대전이다. 이 마을에서는 모심는소리, 밭매는소리, 상여소리 등, 모두 8종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2월 15일에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대소리 유평에서 채집한 무덤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홍제균이 참여하였다. 무덤을 다지는소리이다. 전북 산간지역에는 대개 무덤을 다지는 달구소리가 있으나, 평야지역과 해안 섬지방에서는 가묘(초분)를 썼다가 뒤에 정식으로 매장을 하는 관습이 있었기 때문에 묘를 다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
가사 | 에헤루 다지호
에헤라 다지호 산지조중은1) 곤륭산2)이요 에헤라 다지호 수주조중은3) 황해수라 에헤라 다지호 백두산 명기가 떨어져서 에헤라 다지호 지리산이 생겨났네 에헤라 다지호 지리산 명기가 떨어져서 에헤라 다지호 진안 속곰산 생겨났네 에헤라 다지호 진안 속곰산 생겨나서 에헤라 다지호 덕유산이 생겨났네 에헤라 다지호 덕유산 명기가 떨어져서 에헤라 다지호 지장산이 생겨났네 에헤라 다지호 지장산 명기가 떨어져서 에헤라 다지호 갈미봉이 생겨났네 에헤라 다지호 갈미봉 명기가 떨어져서 에헤라 다지호 유평 이 자리 떨어졌네 에헤라 다지호 에헤루 다지호 에헤라 다지호 1) 산지조중은: 산지조종(山之祖宗)은. 2) 곤륭산: 곤륜산(崑崙山). 3) 수주조중: 수지조종(水之祖宗).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