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달아 달아 밝은 달아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신세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임실군 덕치면 천담리 천담의 과부신세타령-달아 달아 밝은 달아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01211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북도 > 임실군 |
생산지역 상세 | 덕치면 천담리 천담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3 , 과부신세타령 , 달아달아밝은달아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신세한탄 , 전라북도 , 전북 , 임실군 , 1990 , 1995 , 달아 달아 밝은 달아 , 임동실 , 독창 , |
실연자 | 임동실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임동실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천담리 천담은 총 33호 98명의 각성바지 주민들이 벼농사를 주 생업으로 하여 300년 이상을 살아온 마을. 옛날에는 내안마을이라 불렸으나, 후에 천담(川潭)으로 바뀌었다. 장은 강진면 소재지인 갈담으로 보러 가고, 큰 장은 임실읍이나 순창으로 간다. 주로 여성들의 노래를 중심으로, 총 36곡 정도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2월 11일에 전라북도 임실군 천담리 천담에서 채집한 달아 달아 밝은 달아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임동실이 참여하였다. 흥얼거리는 곡조의 상사요(想思謠). 백제 가요 “정읍사”와도 가사가 유사하다. |
가사 |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임의 창문에 비친 달아 우련 님은 어디를 가시고 나는 혼차 독수공방 어쩌라고 저 달은 눈이 하나라도 우리 님을 저녁마동 보는디 나는 눈이 둘이라도 우리 님을 못본다 달아 달아 우리님은 뉘어 겼든가 앉어 겼든가 보시고 보는 대로만 일러 주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