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21집 학회지, 논문집 |
자료명(한문) | 韓國民謠學 第21輯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21집 학술지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20071228 |
생산자(처) | 한국민요학회 |
생산지역 | 국내 > 서울특별시 > 마포구 |
생산지역 상세 | 대흥동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21집 학술지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21집 학회지 , 논문집 , 韓國民謠學 第21輯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2007년 12월 28일 한국민요학회에서 발행한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제21집(第21輯)이다. 본 책은 총 350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논문의 끝에는 해당 논문의 영어요약본이 실려있다.
이영식, 민요학자와의 만남(2)-월산 임동권 선생님 편 일반논문 강등학, 1945년 이전시기 통속민요 아리랑의 문화적 성격과 가사의 주제양상 김혜정, 산아지타령 계열 악곡의 음악적 존재양상과 의미 서정매, 선율과 음정으로 살펴본 밀양아리랑 신은주, 경상북도 밭매는소리의 유형 분석 이옥희, 대화체 민요의 존재양상과 소통미학 이창식, 아리랑, 아리랑학, 아리랑콘텐츠 장유정, 일제시대 유성기 음반 곡종의 실제와 분류 정우택, 한국청년전지공작대의 가극 <아리랑> 공연과 그 의의 최은숙, 20세기 전반기 대중가요 담론의 쟁점과 의의 최헌, 정선아라리의 선율구조 분석연구 휘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