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방개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임실군 신덕면 수천리 수천의 논매는소리-방개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장인옥 외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장인옥 외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임실군 신덕면 수천리 수천에는 총 100여 호 230여 명의 주민이 벼·고추·잎담배 재배를 주 생업으로 하여 살고 있다. 장은 임실군 관촌면의 관촌장을 보러 가며, 큰 장은 전주로 보러 간다. 마을 인구의 약 9할 정도가 평산 신씨인 동족마을인데 옛이름은 빈채마을이었고 굿이 억셌다고 한다. 논매는소리(방개소리), 상여소리 등 약 7곡 정도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2월 12일에 전라북도 임실군 신덕면 수천리 수천에서 채집한 방개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장인옥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신덕면은 완주군 쪽 서부 평야지역에 인접해 있다. 논매기는 세벌을 맸으며, 모심은 지 20일쯤 뒤 호맹이질로 초벌을 매고, 초벌매고 다시 20일쯤 뒤 손으로 긁으면서 두벌을 매는데, 이때 공동작업으로 두레가 뜬다. 세벌은 각자 손으로 하며 안 매기도 한다. 가창자의 설명에 따르면 이 방개소리는 두벌때 부르는데, 죽 이어서 부르는 게 아니라 논 매다가 이따금 한번씩 부르며, 그 사이사이에 굿(풍물)을 치면서 해야 제 맛이 난다고 한다. 이 곡은 전곡을 부르는 동안 장구와 꽹과리가 굿거리 장단으로 반주를 한다. 물론 중간중간에 한 마디씩 노래가 쉬는데, 이때도 반주는 계속한다. |
가사 | 에헤에야아 하하아
아하하 아하하아 하하아 어허어 이히이 헤에야 하하아이 나허언개로다 에헤에야아 하하아 아하하 아하하아 하하아 어허어 이히이 에헤야 하하이 나허언개로다 산천 초목 저 젊어간디 우리 청춘 늙어만 가네 에헤에야아 하하아 아하하 아하하아 하하아 어허어 이히이 에헤야 하하이 나허언개로다 놀로 가세 놀로를 가세 월선이 마당 놀로를 가세 에헤에야아 하하아 아하하 아하하아 하하아 어허어 이히이 에헤야 하하이 나허언개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