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밭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밭매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임실군 지사면 안하리 안하의 밭매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덕근 외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덕근 외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임실군 지사면 안하리 안하에서는 총 72호 242명의 주민이 벼·잎담배·생강 등을 주 생업으로 살고 있으며, 약 1300여 년의 역사를 지닌 오래된 마을. 전주 최씨가 약 1/4 정도를 차지하며, 장은 임실군 오수장, 큰 장은 남원장을 본다. 총 24곡 정도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2월 13일에 전라북도 임실군 지사면 안하리 안하에서 채집한 밭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덕근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노래의 곡조는 진안·장수·무주군 등지의 메나리조 교환창의 곡조로 되어 있지만, 가창방식은 서부 평야지역 노동요 가창방식인 선후창으로 되어 있다. 이 지역이 동부 산간지역과 서부 평야지역의 중간지역임을 보여준다. 창법도 메나리토리와 육자배기토리의 중간적인 창법으로 되어 있고, 사설 역시 산간지역과 평야지역 사설이 섞여 있다. 남자들이 풀뜯을 때나 모심을 때도 불렀다고 하는데, 가창자들은 이 노래를 “진양조”라 했다. |
가사 | 못다 맬 밭 다 매고 갈라다 금봉채를 잃고나 가네
금봉채 하나에 열시무냥 해여도 내 담당험세 아이고 담담 내 설움 제워서1) 내 못 살것네 임아 종종 날 셈겨주소2) 나도 종종 임 셈겨줌세 아이고 담담 내 설움 제워서 내 못 살것네 요내 밭골 얼른 매고 임의 밭골을 거들러 줌세 아이고 담담 내 설움 제워서 내 못 살것네 노랑 노랑 새 삼베 수건 나도 딲고 임도 딲어 아이고 담담 내 설움 제워서 내 못 살것네 날 오라네 날 오라네 산골 처녀가 날 오라네 아이고 담담 내 설움 제워서 내 못 살것네 가살3)일레 가살일레 시누남편 가살일레 요내 문전 지내고 감서 줄부채로4) 낯을 가리네 아이고 담담 내 설움 제워서 내 못 살것네 1) 제워서: 겨워서. 2) 셈겨주소: 섬겨주소. 3) 가살: 언행이 얄망궂고 되바라진 태도. 4) 줄부채: 쥘부채.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 된 부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