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22집 학회지, 논문집 |
자료명(한문) | 韓國民謠學 第22輯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22집 학술지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20080430 |
생산자(처) | 한국민요학회 |
생산지역 | 국내 > 서울특별시 > 마포구 |
생산지역 상세 | 대흥동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22집 학술지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22집 학회지 , 논문집 , 韓國民謠學 第22輯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2008년 4월 30일 한국민요학회에서 발행한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제22집(第22輯)이다. 본 책은 총 433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논문의 끝에는 해당 논문의 영어요약본이 실려있다.
김순제, 나승만, 조화영, 민요학자와의 만남(3)-김순제 선생님 편 일반논문 김익두, 전북민요의 '소용돌이 미학' 김혜정, 어업노동요의 헤테로포니를 활용한 민요 가창 교육 전략 나승만, 가거도 멸치잡이 뱃노래의 민속지 문진, 전라남도 어업요의 연행과 즉흥표현의 교육적 의미 고찰 박관수, '싸시랭이'의 지역성 서영숙, 충북 여성 민요의 정서 표현양상과 현실의식 이성훈, <해녀노젓는소리> 사설의 교섭양상 이옥희, 진도 민요의 문화적 특질과 위상 이윤선, 닻배노래를 통해 본 어로요의 리듬 분화와 인터랙션 이현수, 정선아라리의 전수교육 실태와 발전 방안 최자운, 다복녀민요의 유형과 서사민요적 성격 홍순일, 도서·연안지역 민요공동체의 성격과 민요의 연행양상 휘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