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배꽃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임실군 삼계면 두월리 뒷골의 논매는소리-배꽃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미상 |
---|---|
실연방법 | 두패교환창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 두월리 뒷골에는 총 66호 220명의 주민이 벼·잎담배·고추 등을 주 생업으로 하여 산다. 김씨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장은 오수장을 보고, 큰 장은 남원장으로 간다. 예전에는 남원군 말천방에 속했다고 하며, 지금도 말천방농요보존회가 조직되어 있다. 총 27곡 정도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월 9일에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 두월리 뒷골에서 채집한 배꽃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두패가 참여하였다. 이 방아타령은 주로 초벌에 호미질을 하며 부르는데, 논매기가 어느 정도 되어갈 때나 논매기를 좀 더 빨리 할 때 부른다고 한다. 두벌 때는 주로 사랑가를 부른다. 이 곡은 가창자들이 방아타령이라 하나 실은 이 일대에서 논매는소리로 많이 부르는 배꽃타령이다. 두패교환창 방식으로 부른다. |
가사 | 가: 남문 열고 바래1) 치니 계명산 산천이 바알 밝아를 온다
에헤 에헐싸 좋다 궁다쿵에 기화자 좋을씨고 나: 베 잘 짠다 베 잘 짠다 남원 동문안 큰아기 베헤 베 잘 짠다 에헤 에헐싸 좋다 궁다쿵에 기화자 좋을씨고 가: 활 잘 쏜다 활 잘 쏜다 북도 매봉2)에 군사가 화알 활 잘 쏜다 에헤 에헐싸 좋다 궁다쿵에 기화자 좋을씨고 나: 배꽃일레 배꽃일레 처자 호호리 홀목3)이 배헤 배꽃일레 에헤 에헐싸 좋다 궁다쿵에 기화자 좋을씨고 1) 바래: 파루(罷漏). 오경(五更) 삼점(三點)에 큰 쇠북을 서른 세 번 치던 일. 2) 북도 매봉에: 대개는 “북도(北道) 마병(馬兵)의”. 3) 홀목: 손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