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대도돔소리,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임실군 삼계면 두월리 뒷골의 대도돔소리,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종문, 원두희, 이성옥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종문, 원두희, 이성옥 외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 두월리 뒷골에는 총 66호 220명의 주민이 벼·잎담배·고추 등을 주 생업으로 하여 산다. 김씨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장은 오수장을 보고, 큰 장은 남원장으로 간다. 예전에는 남원군 말천방에 속했다고 하며, 지금도 말천방농요보존회가 조직되어 있다. 총 27곡 정도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월 9일에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 두월리 뒷골에서 채집한 대도돔소리,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종문, 원두희, 이성옥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
가사 | <댓소리>
나모 어 어이 에 으읏 나모 에이 에이 에이에 에에이잇 나모 나모 어 어이 에 으읏 나모 에이 에이 에이에 에에이잇 나모 <발인소리> 관아 아 아헤 에에 관아 아 아헤 에에 관아 아 아헤 에에 관아 아 아헤 에에 한심혀 한심혀 나만이 한심허네 관아 아 아헤 에에 인제 가면은 언제나 올래 관아 허 아헤 에에 오마는1) 날이나 일러나 줘요 관아 아 아헤 에에 오늘 밤에나 오오 관아 아 아헤 에에 <운상소리> 어하 어하 어이가리 어하 어하 어하 어이가리 어하 땅 떨어졌네2) 땅 떨어졌네 세 번만에 땅 떨어졌네 어하 어하 어이가리 어하 날 오라네 날 오라네 유대군들 날 오라네 어하 어하 어이가리 어하 개걸라컨3) 가거나만은 오만 날이나 일러주게 어하 어하 어이가리 어하 임은 가고 봄은 온디 꽃만 피어도 임의 생각 어하 어하 어이가리 어하 오래길랑 전해 놓고 문만 걸고 잠을 자네 어하 어하 어이가리 어하 오라 한다 오라 한다 너그 어마니 오마 헌다 어하 어하 어이가리 어하 꽃은 피어 화산인데 잎은 피어 청산이라 어하 어하 어이가리 어하 황천길이 머다더니 건너 안산 황천이요 어하 어하 어이가리 어하 남문 열고 바래 치니 계명산천 밝아오네 어하 어하 어이가리 어하 저 산 너메 소첩 두고 밤길 걸기 난감허네 어하 어하 어이가리 어하 1) 오마는: 오마 하는. 2) 땅 떨어졌네: (상여가) 땅에서 떨어졌네. 3) 개걸라컨: 가걸랑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