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23집 학회지, 논문집 |
자료명(한문) | 韓國民謠學 第23輯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23집 학술지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20080830 |
생산자(처) | 한국민요학회 |
생산지역 | 국내 > 서울특별시 > 마포구 |
생산지역 상세 | 대흥동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23집 학술지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23집 학회지 , 논문집 , 韓國民謠學 第23輯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2008년 8월 30일 한국민요학회에서 발행한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23집(第23輯)이다. 본 책은 총 517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논문의 끝에는 해당 논문의 영어요약본이 실려있다.
기조논문 마나베 마사히로, 日本民謠における類型表現の諸相(일본민요에 있어서 유형표현의 양상) 요코바타케 마유미, 島根縣安來市廣瀨町比田の牛供養·花田植 이데 유키오, 民謠の保存と活用(민요의 보존과 활용) 서간려, 중국 광서 장족 농사 가요의 전통과 현황 우승표, 민요의 보존과 실제 활용 중의 문제들 : 백묘 山歌를 사례로 이창식, 노동요의 기능 인식과 무형문화재 지정 검토 일반논문 강등학, 정선아라리의 민요생태와 문화적 의미 김인숙, 서도 메나리에 관한 음악적 고찰 류경자, 무가 <당금애기>와 민요 '중노래·맏딸애기'류의 교섭양상과 변이 박관수, <싸시랭이>의 기능 서영숙, 서사민요의 장르와 문학적 특징 손인애, 서도민요 <긴난봉가>에 대한 사적 고찰 최은숙, 20세기 전반기 대중가요에 나타난 '타국'인식과 형상화 방식 휘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