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문열가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순창군 유등면 건곡리 학촌의 논매는소리-문열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명환, 이철후, 최훤수, 최삼채, 최재복 외 |
---|---|
실연방법 | 두패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김명환, 이철후 외, 나/ 최훤수, 최삼채, 최재복 외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순창군 유등면 건곡리 학촌에는 총 68호 180여 명의 주민이 논농사를 주 생업으로 하여 산다. 논농사 외에 다른 생업은 거의 없다. 장은 순창으로 보러 가며, 큰 장은 남원으로 간다. 40호 이상이 초계 최씨여서 최씨 동족마을인 셈이다. 총 28편 정도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0월 20일에 전라북도 순창군 유등면 건곡리 학촌에서 채집한 문열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명환, 이철후, 최훤수, 최삼채, 최재복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논매기를 시작하는소리이다. 육자배기조 두패교환창으로 부름. 아침에 논매기를 시작하여 새참을 먹기 전까지 부른다. 이 노래는 새참을 가져오라는 신호라고 한다. 일꾼들은 늘어선 순서대로 반반씩 두 패로 나누어서 부른다. 이 마을 논매는소리는 문열가, 그물타령, 꽃방타령, 아래타령, 흥글타령, 호요타령, 성게타령, 에야타령, 노향방초 등 아홉 가지가 있다. 논매기는 세벌을 매며, 초벌은 호미로, 두벌과 세벌은 손으로 맨다. 이 아홉 가지의 논매는소리는 초벌매기, 두벌매기, 세벌매기에 관계없이 어느 때나 부른다. |
가사 | 가: 오늘도 심심하니 노래 하 한자리 불러 보세
나: 니 노래를 내질 마소 요내 노래가 건너가네 가: 노세 노세 젊어서 노 노세 늙어지며는 못 노니라 나: 팔랑팔랑 수갑사 대 댕기 어깨 너 넘에서 날 쇡이네 가: 놀아 노세 젊어 노 노세 우리 농군들 잘도 허네 나: 애들 씨네 애들 씨네 우리 농군들 애들 씨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