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그물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순창군 유등면 건곡리 학촌의 논매는소리-그물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명환, 이철후, 최훤수, 최삼채, 최재복 외 |
---|---|
실연방법 | 두패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김명환, 이철후 외, 나/ 최훤수, 최삼채, 최재복 외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순창군 유등면 건곡리 학촌에는 총 68호 180여 명의 주민이 논농사를 주 생업으로 하여 산다. 논농사 외에 다른 생업은 거의 없다. 장은 순창으로 보러 가며, 큰 장은 남원으로 간다. 40호 이상이 초계 최씨여서 최씨 동족마을인 셈이다. 총 28편 정도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0월 20일에 전라북도 순창군 유등면 건곡리 학촌에서 채집한 그물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명환, 이철후, 최훤수, 최삼채, 최재복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아침 새참 먹고 김을 매기 시작하면서 하는 노래이다. 이 그물타령은 전북에서 순창군과 바로 인접한 남원군 대강면과 순창군 순창읍 가잠리, 순창군 풍산면 대가리에서 채록되었다. 논매는 일꾼들을 좌우로 절반씩 나누어, 우측 절반이 노래를 부르면 좌측 절반은 김을 매고, 좌측 절반이 노래를 부르면 우측 절반이 김을 매고 한다. |
가사 | 가: 그물을 맺자 그물을 맺자
당사실로만 그물을 맺자 얼씨고 호호나 어허이 어허이 어허허야 남에소호홀 어러허 일레 나: 그물을 치자 그물을 치자 영광 법성에 그물을 치자 얼씨고 호호나 어허이 어허이 어허허야 남에소호홀 어러허 일레 가: 걸렵소사 걸렸소사 만경 처녀가 걸렸소사 얼씨고 호호나 어허이 어허이 어허허야 남에소호홀 어러허 일레 나: 돈 쏟아진다 돈이 쏟아진다 한량에 줌치서 돈이 쏟아 진다 얼씨고 호호나 어허이 어허이 어허허야 남에소호홀 어러허 일레 가: 돈 실로 가자 돈을 실로 가자 영광 법성에로 돈을 실로 가자 얼씨고 호호나 어허이 어허이 어허허야 남에소호홀 어러허 일레 나: 술 자시러 가자 술을 자시러 가자 영광 법싱에 술을 자시로 가자 얼씨고 호호나 어허이 어허이 어허허야 남에소호홀 어러허 일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