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꽃방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순창군 유등면 건곡리 학촌의 논매는소리-꽃방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명환, 이철후, 최훤수, 최삼채, 최재복 외 |
---|---|
실연방법 | 두패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김명환, 이철후 외, 나/ 최훤수, 최삼채, 최재복 외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순창군 유등면 건곡리 학촌에는 총 68호 180여 명의 주민이 논농사를 주 생업으로 하여 산다. 논농사 외에 다른 생업은 거의 없다. 장은 순창으로 보러 가며, 큰 장은 남원으로 간다. 40호 이상이 초계 최씨여서 최씨 동족마을인 셈이다. 총 28편 정도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0월 20일에 전라북도 순창군 유등면 건곡리 학촌에서 채집한 꽃방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명환, 이철후, 최훤수, 최삼채, 최재복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주인집에서 점심 바구니를 이고 나올 때쯤 해서 “점심 때가 다가오니 몸도 가볍고 흥이 나서” 부르는 노래이다. 두패교환창 형식으로 부른다. 후렴구 “어리씨고나 야야, 저리씨고나 야야, 저리나 존가 좋네 아하, 엉저리싸 저리씨고” 만을 놓고 보면 이른바 “배꽃타령” 계통의 노래로 보이지만 곡조나 사설에서 전형적인 “배꽃타령”과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 |
가사 | 가: 꽃을 꺾어 머리에 꽂고
산에 올라서 올라서 들구경 한다 어리씨고나 야야 저리씨고나 야야 저리나 존가 좋네 아하 엉저리싸 저리씨고 나: 신던 보선 볼 걸어 놓고 총각 낭군을 낭군을 기다린다 어리씨고나 야야 저리씨고나 야야 저리나 존가 좋은가보더라아하 엉저리싸 저리씨고 가: 잘도오 허네에 잘도 헌다 우리 농군들 농군들 잘도 헌다 어리씨고나 야야 저리씨고나 야야 저리나 존가 좋네 아하 엉저리싸 저리씨고 나: 꽃을 꺾어 머리에 꽂고 산에 올라서 올라서 들구경 한다 어리씨고나 야야 저리씨고나 야야 저리나 존가 좋은가보더라 아하 엉저리싸 저리씨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