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성게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순창군 유등면 건곡리 학촌의 논매는소리-성게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명환, 이철후, 최훤수, 최삼채, 최재복 외 |
---|---|
실연방법 | 두패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김명환, 이철후 외, 나/ 최훤수, 최삼채, 최재복 외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순창군 유등면 건곡리 학촌에는 총 68호 180여 명의 주민이 논농사를 주 생업으로 하여 산다. 논농사 외에 다른 생업은 거의 없다. 장은 순창으로 보러 가며, 큰 장은 남원으로 간다. 40호 이상이 초계 최씨여서 최씨 동족마을인 셈이다. 총 28편 정도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0월 20일에 전라북도 순창군 유등면 건곡리 학촌에서 채집한 성게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명환, 이철후, 최훤수, 최삼채, 최재복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호미로 논을 맬 때 “김을 다 매고 잠깐 쉬면서 술을 한 잔씩 든 다음 모를 추어주면서 부는 노래”. 즉, 호미로 논을 맨 다음, 호미를 허리춤에다 차고, 흙에 묻힌 모포기들을 바르게 추워주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두패교환창. |
가사 | 가 : 성게1) 성게 말을 타고 성게 고 고개로 넘어간다
헤야 헤헤이 어허얼라 방갤레라 나 : 노다 가세 노다 가세 여기 여기 여기서 노다 가세 헤야 헤헤이 어허얼라 방갤레라 가 : 잘도나 허네 잘도나 허네 우리 농 농군들 잘도 헌다 헤야 헤헤이 어허얼라 방갤레라 나 : 이팔청춘 소년 소년들아 백발 보고히 보고서 반절 마라 헤야 헤헤이 어허얼라 방갤레라 가 : 오늘 날로 여기서 놀고 내일 날 날로 어데서 놀까 헤야 헤헤이 어허얼라 방갤레라 1) 성게: 형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