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스리롱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순창군 순창읍 남계리 경로당의 논매는소리-스리롱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오판진 외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오판진 외 |
지역개관 | 동은행 마을은 총 113호 377명, 서은마을은 총 150호 514명, 그리고 이사정마을은 총 127호 376명의 주민이 각각 벼농사를 주생업으로 하여 살고 있으며, 순화리 이관북마을은 총 84호 296명의 주민이 역시 벼농사를 주로 하여 살아가고 있다. 대개 마을로부터 2km 이내에 순창장이 있어서 읍내 장을 본다. 이번 조사에서는 이 마을들에 살고 계시는 몇몇 노인들을 순창읍 남계리 노인당으로 모셔서 민요를 채록했다. 모심는소리, 논매는소리, 상여소리, 터다지는소리, 줄메고 가는소리 등, 총 16곡 정도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0월 20일에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남계리 경로당에서 채집한 스리롱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판진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논매는소리 중의 하나. 호미질 할 때부터 만드리 할 때까지 부른다. 창자들의 제보에 따르면 논매는소리에는 문열가, 스리랑타령, 생개타령(장원질소리), 방개타령(모춤노래), 망경타령(하야소리), 사호소리 등이 있고, 옛적에는 노향방초, 그물타령도 있었다고 한다. |
가사 | 가 : 오동동추야 달이 당실 밝고 임으나 생각이 저리 절로 난다
하야 스리롱 둥덩실 헤야 노다앙아 스리롱 나 : 노세 노세에 젊어서 노세헤 늙어나 지면 못 노니로다 하야 스리롱 둥덩실 헤야 노다앙아 스리롱 가 : 갈 적에 보고호 올 적에 보고호 보기만 하여도 정이 많이 든다 (하야 스리롱 ) 둥덩실 노다 간다 스리롱 나 : 올 적에 보고 갈 적에 보고 저 건너 저 처자 눈매를 보소 호야 스리롱 둥덩실 헤야 노다앙아 스리롱 가 : 무단한1) 사람 오래다 놓고 문만 걸고서 나부잠2) 을 자는구나 하야 스리롱 웅덩설 노다 간다 스리롱 나 : 간다고 간다 내가나 가네헤 저 님을 따라서 내가 돌아간다 하야 스리롱 둥덩실 헤야 노다앙아 스리롱 가 : 바람 불고 비가 올 줄 알며는 어떤 처녀가 빨래를 가느냐 하야 스리롱 웅덩설 노다 간다 스리롱 나 : 잘도나 허네헤 잘도나 허네헤 우리네 농군들 잘도나 허네 하야 스리롱 둥덩실 헤야 노다앙아 스리롱 가 : 담 넘어 갈 적에는 큰 마음을 먹었는데 문고려 잡고서 바리 발발 떠는구나 허야 스리롱 웅덩설 노다 간다 스리롱 나 : 바람 불고 비가 올 지를 알면 어떠헌 아지머니들 빨래질을 갈까 하야 스리롱 둥덩실 헤야 노다앙아 서리롱 가 : 청사초롱 불을 밝혀 들어라 임으나 방으로 놀러를 가자 하야 스리롱 웅덩설 노다 간다 스리롱 나 : 일락서산에 해가 떨어를 지고호 월출은 동자야 달 솟아온다 하야 스리롱 둥덩실 헤야 노다앙아 스리롱 가 : 그만저만 파양을 허세 북도나 칠성이 앵돌아졌고나 하야 스리롱 웅덩설 노다 간다 스리롱 1) 무단(無端)한: 아무 까닭 없는. 2) 나부잠: 나비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