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문열가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가잠의 논매는소리-문열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권판영, 권병조, 권병남, 김옥산, 김덕순 |
---|---|
실연방법 | 두패교환창 |
실연자 역할 | 앞패/권판영, 권병조, 권병남, 뒤패/김옥산, 김덕순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가잠에는 총 51호 178명의 주민이 벼농사를 주생업으로 하여 살아가며, 근래에 와서는 전통음식인 순창 고추장, 송화다식 등을 특산물로 생산하고 있다. 안동 권씨가 전체의 7할 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권씨 집성촌이다. 모심는소리, 논매는소리, 상여소리, 줄메는소리 등, 모두 9곡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0월 21일에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가잠에서 채집한 문열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권판영, 권병조, 권병남, 김옥산, 김덕순이 참여하였다. 논매기를 처음 시작할 무렵에 부름. 논매기는 초벌은 호미, 두벌 세벌은 손으로 맸는데, 논매는소리는 이 세벌 중 어느 때나 다 같은 노래로 불렀다고 한다. 두 패로 나누어서 한 패씩 서로 번갈아 가며 부르는 두패교환창이다. |
가사 | 가 : 오늘도 심심허으어 허어니
노래 하 한자리 불러나 보세 나 : 놀기 좋네 헤에헤 놀기가 조 좋네헤 요 논 배애미 노올기 이가 좋네 가 : 꽃을 껑꺼 손에다 들고 산에 올라 들귀경하세 나 : 날 오라네 날 오라 허네 산골 처자 날 오라 허네 가 : 인제 가면 언제나 오나 오만 날이나 일러나 주소 나 : 연꽃일레 연꽃일레 광주 광중1) 에 연꼬나실레 가 : 배꽃일레 배꼬나시일래 처자 폴목에 배꼬 오나 치일레 1) 광중: 방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