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오동동추야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가잠의 논매는소리-오동동추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권판영, 권병조, 권병남, 김옥산, 김덕순 |
---|---|
실연방법 | 두패교환창 |
실연자 역할 | 앞패/권판영, 권병조, 권병남, 뒤패/김옥산, 김덕순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가잠에는 총 51호 178명의 주민이 벼농사를 주생업으로 하여 살아가며, 근래에 와서는 전통음식인 순창 고추장, 송화다식 등을 특산물로 생산하고 있다. 안동 권씨가 전체의 7할 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권씨 집성촌이다. 모심는소리, 논매는소리, 상여소리, 줄메는소리 등, 모두 9곡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0월 21일에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가잠에서 채집한 오동동추야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권판영, 권병조, 권병남, 김옥산, 김덕순이 참여하였다. 그물타령 다음으로 부른 노래라 한다. 두패교환창 형식인 듯한데 여기서는 패의 구분없이 불렀다. |
가사 | 가: 오동동 추야 하 달이 둥둥 밝고
임오 생 생각이 절로 절로 난다 아이고 호호 담담 설움이야 나: 꽃을 껑어 손에다 들고 산에 오오 올라서 들귀 들귀경 간다 아이고 호호 담담 설움이야 가: 무단헌 사람 오래다 놓고 문만 거으 걸고 낮잠 낮잠을 잔다 아이고 호호 담담 설움이야 나: 피양 기생 월산이 서방 썼다 버으 벗어서 안경 안경 가보· 아이고 호호 담담 설움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