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찌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남원군 아영면 원산리 신지의 모찌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노영현, 백일귀 외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노영현, 나/백일귀 외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가잠에는 총 51호 178명의 주민이 벼농사를 주생업으로 하여 살아가며, 근래에 와서는 전통음식인 순창 고추장, 송화다식 등을 특산물로 생산하고 있다. 안동 권씨가 전체의 7할 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권씨 집성촌이다. 모심는소리, 논매는소리, 상여소리, 줄메는소리 등, 모두 9곡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1월 8일에 전라북도 남원군 아영면 원산리 신지에서 채집한 모찌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노영현, 백일귀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동부 산간의 전형적인 메나리조 교환창 형식의 모찌는소리이다. 특이한 점은 일반적인 메나리조 모찌는소리나 모심는소리와는 달리 한 사람의 창자가 두 절씩, 즉 주고 받는 대구(對句)인 안짝과 바깥짝을 한꺼번에 다 부른다. 이런 경향은 다음의 모심는소리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
가사 | 가 : 이 논에다가 모를 부어 모 쪄내기 난감허네
석상1) 에다가 상추를 심어 상추 띧기 난감하네 나 : 요내 곁에 모찌는 처녀 어데를 가 가고 안 보이네 밀양이라 염낭숲2) 에 화초 구 구경 가셨다네 가 : 정조3) 나락을 모를 부어 잡나랙이 반치 되네 성안 성내다 소첩을 두니 첩우 자식 반치로다 나 : 한강에다 모를 부어 모 쪄내기 난감허네 이 논에다 모를 부어 잡나랙이 난제로세 1) 석상: 석산(石山). 돌산. 2) 염낭숲: 밀양 영남루 부근의 숲을 말하는 듯. 3) 정조: 참나락. |